실시간 뉴스
  • 세계의 큰 손들은 지금 金에 열광 중
2011년 세계의 부자들이 국제 금시장을 뜨겁게 달군 것으로 조사됐다. 유로화와 달러화 공급이 늘면서 화폐가치 하락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자 가장 기초적인 거래수단인 금에 집중한 것이다.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국부(國富) 가치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고 내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선 것도 금에 대한 투자수요를 부추긴 것으로 나타났다.

▶금시장 규모 2년연속 사상최대 경신= 헤럴드경제가 16일(현지시간) 세계금위원회(World Gold Council)로부터 입수한 2011년 ‘금수요추이(Gold DemandTrends)’ 자료를 보면 연간 셰게 금 총 수요는 4067.1톤으로 전년대비 0.4%늘어나며 2년연속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가치로는 2055억 달러로 전년(1595억달러) 대비 28.8%가 불어났다. 금값 상승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금괴나 금전(gold coin) 같은 투자관련 수요의 급증이다. 2011년 투자관련 수요는 1487톤으로 전년의 1200톤보다 23.9%나 늘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치장용(jewellery) 수요가 2017톤에서 1963톤으로 2.68%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수요는 368톤에서 154톤으로 반토막이 났고, 산업용(Technology) 수요도 466톤에서 464톤으로 제자리 걸음을 했다.


▶경제위기가 금 인기 높였다= 이같은 투기적 수요 급증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단연 선진국 재정위기가 지목된다. 작년 1분기 312.7톤(전년동기대비 +71.8%)을 기록하며 폭발하던 금괴 수요가 금값 상승으로 2분기에는 256.1톤(전년동기비 +18.2%)으로 주춤하다, 미국 신용등급 하락으로 글로벌 증시가 폭락한 3분기 321.4톤(전년동기비 +40.4%)으로 빠르게 늘어난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위기극복을 위한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실질금리는 마이너스 수준으로 떨어진데다, 물가상승 압력은 높아지면서 화폐보다는 대체제인 금의 인기가 높아졌다. 그리고 이는 선진국과 신흥국에 관계없이 국가재정이 비교적 탄탄한 곳일수록 두드러졌다. 기축통화인 달러와 준기축통화인 유로의 핵심국인 미국과 독일의 외환보유고내 금보유량은 8133.5톤 3396.3톤으로 세계 1,2위며, 외환보유고내 금의 비중은 74.5%, 71.4%에 달한다. 기축통화 보유국이라도 금의 힘이 뒤받침돼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최대수요국 인도→중국= 2011년 연간 최대 금수요국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인도였지만, 2위 중국과의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루피화 가치하락으로 인도는 치장용 수요가 줄어든데다, 투자수요의 여력도 약해졌지만, 중국은 치장용 수요와 투기적 수요가 함께 늘었다. 전년 447톤이나 됐던 양국간 총수요 격차는 2011년 260톤대로 줄었다. 2011년 4분기만 보면 중국이 190.9톤을 기록해, 173톤에 그친 인도를 제치고 세계 최대 수요국이 됐다.

WGC는 “루피화 약세는 인도인들의 금소비 여력을 위축시켰다. 게다가 환율변동과 함께 금값의 변동성도 커지면서 더욱 수요가 위축됐다. 인도 소비자들은 금값이 안정될 때 매입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반면 중국은 위안화 강세로 소비여력은 인도보다 낫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 금값이 하락하면서 잠시 수요가 주춤했지만, 연말로 가면서 금값이 안정되자 다시 수요가 몰렸다. 중국인들은 오르는 자산일수록 더 투자해야한다는 성향을 가졌다”고 분석했다.


▶신흥국 수요 탄탄= 태국, 사우디아라바이집트, 터키, 독일, 스위스 등도 투자수요를 중심으로 금을 사들였다. 한국의 경우 전년 0.6톤이었던 투자용 금매입이 작년 3.1톤으로 5배가량 늘었다. 반면 치장용 금수요는 금값 상승으로 15.9톤에서 13.7톤으로 위축됐다.

투자용 금의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은 외환보유고로 쌓이는 금의 양이 늘어난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외환보유고로 쌓인 금의 양은 2010~2011년간 500톤 이상 증가했다. 주로 신흥국 중앙은행이 많다. WGC는 이유에 대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특정통화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다. 아울러 금의 자본화로, 국부를 지키고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역할도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이는 경제난을 겪고 있는 국가들의 투자용 금수요가 부진한 것과도 궤를 같이 한다. 이탈리아와 영국의 경우 2010년에 이어 2011년에도 투자용 금수요는 ‘0’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은 아예 45.2톤을 내다팔았다. 금액으로는 23억5400만달러(한화 약 2조660억원)에 달한다.

다만 흥미로운 점은 경제사정이 극도로 좋지 않은 베트남의 경우 2010년 63.2톤에 이어 2011년에도 87.3톤의 금을 사들인 점이다. 금액으로는 2010년 26억7400만달러, 2011년 45억3400만 달러에 달한다. WGC는 “인플레이션과 국내 자산가격의 부진, 동(Dong)화의 가치하락 등이 금수요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급부족 지속= 금수요는 매년 늘어나지만 공급은 이를 충분히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금공급은 3994톤으로 전년대비 4%가 줄었다. 광산 채광은 2809.5톤으로 전년대비 4% 늘었지만, 재활용 공급이 줄었기 때문이다. WGC는 세계적 경제위기로 경기가 위축되면서 산업생산이 둔화된 것을 재활용 금 공급의 주요 감소원인으로 꼽았다.

<홍길용 기자 @TrueMoneystory>/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