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익공유 놓고 재계 깊은 고민…협력사냐, 사회공헌이냐
2일 동반위 본회의 대기업위원 참여 치열한 논리대결 펼듯

대기업이 정치권의 ‘재벌 압박’과 더불어 오는 2일 동반성장위 본회의 현안인 ‘이익공유제’를 놓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동반성장위가 회의를 코앞에 앞두고 이익공유제를 ‘협력이익배분제’라는 명칭으로 수정을 했지만 근본적으로 기업의 이익을 협력사에 나누는 것은 강제적이면서도 반(反)시장적이라는 게 기업의 입장이다.

다만 이번 동반위 회의에는 대기업 대표 9명의 참석이 유력하다. 그동안 몇 차례 회의에 불참하면서 동반위와 각을 튼 대기업으로선 이번에도 회의에 빠지면 비판여론 부담이 큰 데다, 동반위가 이익공유제 수정 궤도를 한 이상 적극적으로 논의하는 모습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반위가 협력이익배분제 상정을 투표로 강행한다면 인원 구성상 이길 가능성이 없어 투표에 임하지 않고 곧장 퇴장하는 등 파행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기업 측에선 정치권의 ‘재벌때리기’ 파상 공세도 피하고, 동반위의 협력이익배분제에 대한 생산적 처리를 위한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하게 됐다.

대기업이 동반위 본회의에 임하면서도 투표에 주저하게 되는 것은 동반위가 밝힌 협력이익배분제는 이익공유제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현실적 판단 때문이다. 동반위는 30일 대기업의 반발을 의식, 이익공유제를 협력이익배분제로 바꿔 논의를 시도키로 했다. 이는 협력사 전부에 이익을 나누는 게 아니라, 우수 협력사를 선정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이다.

대기업 측은 그래도 미흡하다는 반응이다. 배상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동반위가 이익공유 명칭이나 내용을 바꾼 것은 변화의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해도 협력이익배분제는 이익공유제의 또 다른 이름이며, 좀 더 획기적으로 시장친화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에서 대기업은 여전히 기업이 이익을 내면 협력사와 공유하는 것보다는 사회공헌 쪽에 돌리는 것이 낫다는 입장이다. 협력사의 대기업 이익 공헌에 대한 계량적 수치를 내기도 어렵고, ‘배분’이라는 단어가 주는 반시장적 개념은 동반성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어 이보다 ‘파이’를 키운 사회공헌에 기여하는 게 낫다는 논리다.

이는 동반성장위 생각과 배치된다. 동반성장위 관계자는 “삼성의 경우 직원들에게 초과이익분배금(PS)을 연간 2조원가량 푼다고 하는데, 협력사에 못 줄 이유가 없다”며 “특히 협력사에 대한 평가기준이 있기 때문에 이익 배분에는 문제가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본회의에서 대기업과의 적극적인 논의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본회의에서는 동반성장 강화를 통해 협력사에 실질 혜택을 주는 동시에 사회공헌을 늘리겠다는 대기업 입장과 우수 협력사에 인센티브를 주자는 동반위 입장이 팽팽하게 맞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대기업은 최근 거세지고 있는 정치권의 ‘재벌 때리기’와 관련해 침묵하며 사회공헌 강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소나기가 퍼부을 땐 잠잠할 때까지 기다린다’며 반기업정서 희석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지난 주 호텔신라가 제과제빵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하면서 대ㆍ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결단을 보여준 게 대표적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이부진 사장은 8년간이나 키워왔던 사업을 접는, 아쉽지만 통큰 결단을 보여줬다고 본다”며 “현재 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상생모델을 모색중”이라고 말했다.

김영상 기자/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