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일 위원장 사망으로 … 과천에 사라진 ‘연말’
과천 관가에 ‘연말’이 사라졌다. 예년 같으면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준비를 할 시기지만,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함께 각 부처가 비상 상태에 돌입하면서 ‘송구영신’ 분위기는 찾아보기 힘들다.

21일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부는 각각 27, 22일로 잡혀 있는 기자단-간부 만찬을 취소했다. 김 위원장 사망으로 공무원에게 ‘비상근무4호’가 발령됐기 때문이다. ‘비상근무4호’는 공무원 비상근무 관련 규정에서 가장 낮은 수위이긴 하지만, 상황이 중차대한 만큼 만찬은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나머지 부처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농림수산식품부(19일), 고용노동부(20일), 통상교섭본부(21일), 공정거래위원회(22일) 등이 송년만찬을 취소하거나 간단한 오찬, 주간행사의 형태로 변경했다. 공식행사뿐 아니라 부처 내부에서 벌이는 실ㆍ국별 자체 송년모임 등도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분위기다.

송년행사를 취소하는 게 단순한 ‘몸 사리기’만은 아니다. 김 위원장 사망에 각종 현안으로 예년보다 업무 자체도 훨씬 많아졌다.

재정부는 24시간 비상체제를 가동 중이다. 나라 밖과 소통해야 하는 국제금융국ㆍ대외경제국 등은 물론 경제정책국ㆍ정책조정국 등 안살림을 책임지는 부서도 비상 상황이다. 아침 저녁으로 과ㆍ국ㆍ실별로 ‘없던’ 회의가 줄줄이 이어지고, 연말에 때아닌 밤샘 근무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산실ㆍ세제실은 국회 계수조정소위에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감액 심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마음이 무겁다. 감액 규모를 놓고 민주당은 9조원 삭감, 한나라당은 3조원 삭감으로 맞서고 있어서 진통도 예상되고 후속작업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과 무역을 총괄하는 지경부도 상황은 비슷하다.

‘동계전력 비상수급기간’을 맞아 전력수급 안정에 온 힘을 쏟아붓고 있던 와중에 김 위원장 사망 사태까지 겹치면서 아예 부처 전체가 ‘비상대책본부’로 변했다. 에너지 수급뿐 아니라 산업별 영향력 점검, 해외 바이어 동향 체크, 남북경협ㆍ개성공단 문제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가 쉴 틈이 없다.

그렇다 보니 연말인데도 새벽에 출근해 밤 늦게 퇴근하는 공무원이 줄을 잇는다. 야근하는 공무원이 많아졌지만, 에너지 절약 방침에 따라 밤에는 청사 난방도 예년만 못하다. 건물 내외부 조명도 많이 약해졌다. 청사 분위기가 을씨년스럽다.

재정부의 한 국장은 “예년에는 부처별 대통령 업무보고가 끝나면 그래도 마음은 좀 가벼웠지만 올해는 좀 다르다”면서 “직원과 저녁은 한 끼 같이 하려고 했는데 간단하게 점심 먹으며 한 해를 결산하기로 바꿨다”고 말했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