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앞으로 다가온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결과는 향후 정치권에 메가톤급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선거가 여당 후보와 범야권 무소속 후보간 사상 초유의 대결인 데다, 총ㆍ대선 전초전의 성격까지 띠게 되면서 정치적 의미와 무게감이 역대 보궐선거와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정국은 물론 내년 총선과 대선구도까지 통째로 흔들리면서 정치지형이 크게 요동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민주당 손학규 대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여야 대선주자들이 선거 전면에 나선 이상, 선거 결과에 따라 이들의 정치적 명암도 극명하게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朴 대세론과 安 대안론 =이번 선거가 사실상 대권 전초전의 성격을 띠면서 여야의 대선주자들은 이번 선거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여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박근혜 대세론’의 재확인 또는 ‘안철수 대안론’의 부상이라는 대권 구도의 기본 틀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나경원 한나라당 후보가 이번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박근혜 전 대표의 입지는 더욱 공고해 질 것이 명확하다. 안풍(安風) 여파로 주춤거렸던 박근혜 대세론이 강화되면서 차기 권력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뜻하지 않았던 시민세력의 급부상이 오히려 박 전 대표의 대세론을 사전 점검하고 보강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작용하는 셈이다.
같은 논리로 나 후보 패배시에는 박 전 대표가 적지 않은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박원순 후보 승리시에는 그의 정치적 동반자인 안철수 원장이 범야권 유력 대선주자로서의 입지를 굳히면서 ‘박근혜 대항마’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또 선거를 진두지휘한 손 대표와 문 이사장의 위상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박 후보 패배시에는 이들 3인 모두 큰 상처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 정치지형에도 메가톤급 파장 =이번 선거는 그 결과에 따라 대선주자들 뿐 아니라 기존 여야 정당구도에도 근본적인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나 후보와 박 후보 중 누가 승리하느냐에 따라 후폭풍의 강도는 다소 차이가 날 전망이다.
나 후보가 승리하면 기존 정치구도는 유지된 채로 내부 구조조정 정도의 파장이 예상된다.
여권은 급속히 ‘박근혜당’으로 재편되면서 안풍(安風)과 대통령 내곡동 사저 논란 등으로 촉발된 현재의 위기국면을 수습할 여력을 마련하게 된다.
범야권으로 눈을 돌리면 정치권을 강타한 시민세력의 파워가 위축되면서 안 원장과 박 후보를 중심으로 한 제3세력의 등장 가능성이 약화될 공산이 크다.
민주당은 지도부 책임론 속에 대혼란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손학규 대표는당(黨) 후보를 내지 못한 데 이어 당의 총력지원에도 선거에서 패배한 만큼 사퇴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 당은 조기 전당대회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대로 박 후보 승리시에는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 전체에 미칠 파장은 가히 메가톤급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민주당이 박 후보를 밀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여야 모두 갓 등장한 시민세력에 무릎을 꿇은 꼴이 되기 때문이다.
정치권에 대한 실망과 염증에서 비롯된 안철수 돌풍이 박 후보 승리를 계기로 확실한 ‘실체’로 자리 잡으면서 시민세력이 정치전면에 등장하고, 기존 정치질서는 재편의 길로 내몰릴 수도 있다.
실제 박 후보가 민주당에 입당하지 않고 제3세력으로 남아 내년 총선과 대선국면에서 독자행보를 이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총선을 전후로 한 제 3정당 출현 가능성도 거론된다.
여야의 내부 상황을 보면 여권은 그야말로 공황상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의 국정 장악력이 약화되고 총선과 대선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지게 된다. 특히 여권은 선거패배의 책임론을 둘러싸고 자중지란에 빠질 수도 있다. ‘이대로는 안된다’는 위기감 속에 내부에서 변화와 쇄신 요구가 터져 나오면서 자칫 분열국면으로 빠져들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청와대의 경우 레임덕 현상이 앞당겨 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민주당 입장에선 일단 선거 승리 자체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향후 국정을 주도하면서 총선과 대선을 유리한 국면에서 이끌어 갈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박 후보가 무소속 잔류를 고집할 경우 야권의 중심축이 시민세력으로 이동하면서 당 자체가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당장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시민세력이 치열한 주도권 다툼을 벌이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된다.
<박정민 기자 @wbohe> boh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