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짠돌이 日, 亞금융 헤게모니 장악 노림수?
일본과 한국이 700억달러로 통화스와프 규모를 늘린다고 발표하자 시장은 화들짝 놀랐다. 현재의 양국 간 통화스와프(130억달러)보다 5배나 커진 것도 그렇지만, 상대가 일본이었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달러 구하는 데 발벗고 나섰던 우리를 가장 애먹인 게 일본이었다. 금융위기 당시 통화스와프를 위해 미ㆍ중ㆍ일을 찾았던 한국은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을 지렛대로 중국과 일본을 설득했다. 중국은 통크게 1800억위안(38조원)의 통화스와프를 약속했다. 반면 일본은 수십억달러로 생색만 낼 뿐 더이상은 안된다며 손사래를 쳤다.

당시 회담에 참여했던 기재부 관계자는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규모(38조원)를 들이밀어 설득한 끝에야 금액이 조금씩 올라갔다”고 회상했다.

그런 일본이 왜 불과 3년 만에 이렇게 변했을까.

일각에선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에 위기감을 느낀 일본이 한ㆍ일 FTA의 밑밥으로 대규모 통화스와프를 던진 것이란 해석을 내놓는다.

하지만 기재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달러 확보를 위해 뭐든지 해야 하는 다급한 상황이 아닌데 한ㆍ일 통화스와프가 FTA 협상에 영향을 미치겠느냐”고 반문했다. 가능성이 떨어지는 정치적인 해석이라는 설명이다.

이보다는 일본 외환당국의 가장 큰 고민인 ‘엔고현상’을 완화하려면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이 절대적이란 분석이 설득력 있다.

정대선 삼성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환율 상승은 결과적으로 일본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 하락을 의미하므로 원/달러 환율 안정이 일본에도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19일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원 하락해 1131원대로 떨어졌다. 원화값이 1130원대를 회복한 것은 지난달 19일(1137.0원) 이후 한 달여 만에 처음이다.

또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펀더멘털이 개선돼 실제로 일본 측이 손실을 볼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2008년 당시에는 9월 리먼브러더스 부도 이후 금융위기가 빠르게 확산돼 외환보유고 역시 빠르게 감소하는 상황이었다. 위기의 파장과 속도를 가늠하기 어려워 곳간의 문을 함부로 열 수가 없었다. 반면 2011년 재정위기는 속도는 느린 대신 얼마나 길어질지 모른다는 특성이 있다. 결국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안전망을 쌓는 게 서로에게 필요하다.

아울러 중국과 일본이 아시아 지역의 금융 헤게모니를 쥐기 위해 한국과의 금융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분석도 설득력 있다.

장기적으로 아시아 역내의 금융협력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중국과의 경쟁관계를 감안할 때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나왔으리라는 것이다. 통화스와프 등을 통해 주변국과 금융협력을 돈독히 했을 때 향후 아시아통화기금(AMF) 창설 과정에서 보다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번 한ㆍ일 통화스와프로 중국과의 계약만기 연장도 순항할 전망이다. 상황에 따라 180도 변하는 국가 간 금융전쟁의 치열한 정치경제학을 한ㆍ일 통화스와프가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박지웅 기자/goa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