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골 깊어가는 반포주공 1단지 르포
2월이후 실거래신고 全無호재 있어도 호가만 상승
매수자들 움직임 전혀 없어
고덕은 3.3㎡ 3000만원 붕괴
‘서울에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땅’. 주민들은 물론이고 부동산 업계 및 전문가들이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아파트를 두고 하나같이 하는 얘기다.
최근 서초구의 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지은 지 40년이 다 돼가는 반포주공 1단지는 재건축을 향한 일보전진을 이뤄냈다. 그러나 모처럼의 대형호재에도 불구, 시장은 미동조차 않고 있다.
이중ㆍ삼중으로 쳐진 반시장적 중복 규제와 말로는 ‘시장 활성화’지만, 실상은 시장을 죽이는 정부의 엇박자 대책으로 현재의 부동산 시장은 강남 최고 노른자위 지역에도 대형호재가 통하지 않는 최악의 침체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최근 기자가 찾은 반포주공 1단지엔 안전진단 통과 소식을 축하하는 현수막이 곳곳에 내걸려 있었다. 이 아파트의 첫 입주시기는 1973년. 극도로 노후화된 주거 환경을 감안하면 기대감에 부동산 시장도 들썩 거릴만도 한 상황. 하지만, 단지 인근의 중개업소 어디에서도 “일할 맛 난다”는 얘기를 들을 수 없을 정도로 시장 반응은 썰렁했다.
실제 국토해양부에 신고된 실거래 정보에 따르면, 지난 2월 이후 이 단지는 매매가 단 한 건도 없었다. 시세 반등 동력이 있어야 추격 매수세가 따라 붙기 때문에 이같은 ‘거래 실종’ 상황은 더욱 오래 지속될 것이란 게 중개업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반포주공 재건축 단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개포주공아파트, 은마 아파트, 고덕주공 아파트 등 주요 재건축 단지들도 대형호재가 전해지고 있지만, 호가만 반짝 상승한 후 재차 하락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거래도 실종된지 오래다.
반포, 개포, 고덕 등 서울 강남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에서 사업 진척을 알리는 호재가 전해지고 있지만, 중복 규제와 보금자리에 발목 잡힌 재건축 시장의 침체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사진은 최근 안전진단을 통과한 반포주공 1단지 전경. |
지난 3월 ‘개포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이 통과되면서 개포주공 재건축단지의 시세는 3000만~4000만원 가량 반짝 상승한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강동구 고덕시영아파트와 고덕주공4단지도 잇따라 사업승인을 따 냈지만, 시장은 오히려 더 싸늘해지고 있다.
대형호재와 정부의 잇단 대책에도 이처럼 부동산 시장 침체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는 것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복원과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에 대한 불안감, 분양가 상한제 폐지의 불확실성 등 여전히 각종 규제 변수가 상존해 있기 때문이다.
사업이 지지부진한데도 일단 발표부터 하고 보자는 정부의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남발도 부동산 거래 실종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3ㆍ22 대책’에서 내놓은 취ㆍ등록세 감면 방안은 국회 통과 과정에서 혼선을 빚으며 그나마 기력을 유지해 나가던 거래 시장의 호흡기를 떼어버렸다.
이를 두고 일선 중개사들 사이에서는 ‘엇박자 대책, 시장 죽이기 대책’이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한 중개사는 “대책 발표를 앞두고는 기대감으로, 발표 후에는 불확실성으로 거래가 급감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며 “반시장적인 규제를 과감히 걷어내야 시장이 회복세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순식ㆍ백웅기 기자/ kgung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