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의 부실과 비리에 관련된 검찰조사가 이어지고 정치권으로도 논의가 넘어갔지만 저축은행의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금융당국이 98개 저축은행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사업장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시작하고 부실 자산을 정리하기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업계는 건전성 점검에 다른 구조조정 가능성에 술렁이고 있다.
당장 7월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던 국제회계기준(IFRS)도 5년 후로 미뤘지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위기는 지금부터 시작’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24일 저축은행에 대한 IFRS 적용을 2016년 7월까지 미루기로 했다. 7개 상장저축은행과 계열사를 포함한 16개 저축은행에 IFRS를 적용하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하고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진다. 이로 인해 캠코에 대한 부실채권 매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같은 조치도 당장 하반기 추가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것이란 예상에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25일 “저축은행 PF대출 사업장 전수조사는 업무계획에 따른 연례적인 실태조사”라며 “저축은행 보유 PF채권의 건전성을 파악한 후 캠코에 매각하기 위한 것이지 저축은행 구조조정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상 영업 중인 저축은행들의 상황도 저축은행 위기가 진행형임을 보여준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영업정지 7개 저축은행 제외 자체매각 나선 저축은행 매물도 대영과 경기솔로몬저축은행을 포함해 1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업 실적을 보면 최근 발표한 3분기 실적에서도 자산 규모 2조원 이상인 저축은행 9곳 가운데 상위 3위업체가 적자를 기록했다. 부동산 PF 부실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자산 10위권 저축은행에서 6곳의 PF 연체율도 20%를 넘어섰다. PF 대출 부실로 대형 저축은행들이 2년 연속 적자 가능성이 제기되는 만큼 다음달 말 예정된 2010 회계연도(2010년7월~2011년6월) 결산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윤정현 기자 @donttouchme01>
/hi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