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 10명 중 6명은
혼자공부 하루 1시간도 안돼
밤 열시까지 자율학습불구
야자대신 학원수강 당연시
“학교밖서 2시간 학습” 51%
“1주일내내 독서안한다” 31%
여전히 ‘티처보이’ 재확인
서울 K고 2학년인 조모(17) 군은 오전 7시30분까지 등교해 8시부터 ‘아침 자율학습’을 한다. 이어진 정규 및 방과후학교 수업을 마친 조 군은 오후 10시까지 ‘야자(야간자율학습)’를 해야 한다. 더욱이 조 군은 모자라는 수학을 보충하기 위해 1주일에 두 번 ‘야자’ 대신 학원에 간다. 귀가하면 대략 오후 11시. 책도 좀 읽고 모자라는 단원을 정리하고 싶지만 조 군의 몸은 벌써 ‘파김치’. 펴놓았던 문제집을 접고 잠자리에 든다. 이날 조 군은 학교에서 무려 12시간 가까이 공부했지만, 스스로 공부한 시간은 채 30분이 안 된다.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라는 용어는 최근 교육계에서 가장 각광받는 단어다. 지난해부터 외국어고, 일부 자율형사립고, 국제중은 물론 과학고 같은 특수목적고의 전형에는 입학사정관제의 일종인 ‘자기주도학습전형’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고교생 10명 중 6명은 학교나 학원 공부 때문에 1주일 중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아예 없거나 5시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이 정부와 교육계의 환영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 학생들은 시험 기술을 가르치는 학원 교육에 의지하는 등 혼자 하는 공부는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헤럴드경제DB] |
대부분 학생이 교육당국에서 권장하는 ‘자기주도학습’을 하지 못하고 공교육이나 사교육 때문에 수동적 타율적으로 공부하고 있음이 입증된 것이다.
9일 한국교육개발원이 2009년 전국 165개 고교 1만1341명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최근 공개한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창조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고교생의 주당 독립적인 공부시간은 ‘5시간 미만’이 41.2%, ‘안 함’이 23.2%나 됐다. 총 64.4%가 하루 1시간도 공부하지 않는 셈이었다.
반면 고교생 중 1일 평균 학교 안에서 정규수업인 6~7시간을 포함해 자율학습, 방과후학교 시간 등을 합쳐 10시간 이상 공부하는 비율은 절반 가까운 46.9%, 학교 밖에서 학원이나 개인과외 등을 통해 2시간 이상 공부하는 비율은 50.8%나 됐다. 또 고교생 중 상당수가 ▷방학 중(64.4%) ▷학교 가는 토요일(42.7%) ▷공휴일(31.2%)에 학교에 나와 사실상 ‘타율’인 자율학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남는 시간에 원하는 공부를 하거나 여가시간을 활용하는 고교생도 많지 않았다. 주당 독서시간이 ‘없다’는 고교생이 31.2%, ‘2시간 미만’이 34.2%나 됐다. 고교생 중 65.4%가 1주일에 책을 채 2시간도 읽지 않은 셈이었다.
유인종 전 서울시교육감(고려대 교육학과 명예교수)은 “교육당국은 창의적 인재를 키우겠다며 입학사정관제를 확장시키고 있지만 일선 고교는 아직도 ‘시험 위주 줄세우기 교육’을 하고 있다”면서 “이것이 지양돼야 스스로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창의적 인재를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상윤 기자/ke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