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호크’ 2015년 이전 구매...평양 타격 공대지 유도탄도 도입
방위사업청은 23일 미국에서 개발해 운용 중인 고(高)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호크’를 정부간 계약방식인 FMS(대외군사판매) 방식으로 2015년 이전에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글로벌호크는 전력화되면 북한 종심지역에 대한 자주적인 정찰.감시와 전략표적획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청은 이날 오후 국방부 청사에서 김관진 국방장관 주재로 제48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사추위) 회의를 열어 K2전차의 초도양산계획 수정안과 고(高)고도 무인정찰기 사업추진기본전략안, 장거리 공대지유도탄 사업추진전략 수정안을 각각 의결했다.

글로벌호크는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SAR)와 적외선탐지장비 등을 통해 지상 0.3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등 첩보위성 수준급 전략무기로 작전 비행시간은 38~42시간 가량이며 작전반경은 3000km, 대당 가격은 4500만 달러 이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방사청은 또 K2전차(흑표)의 핵심부품인 파워팩(엔진+변속기)을 국내에서 개발해 장착하기로 의결했다.

파워팩 관련 국내 업체들은 방사청에서 지난 15일 K2전차 초도 생산분 100대에 장착할 파워팩을 독일에서 수입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하자 방위산업 육성 정부정책에 위배되고 막대한 국부 유출이 우려된다면서 강력 반발해왔다.

최신예 전투기인 F-15K에 장착해 운용할 최신 장거리 공대지유도탄도 FMS와 상업구매 방식의 경쟁을 통해 해외에서 도입키로 결정했다.

사거리가 수백㎞에 이르는 장거리 공대지유도탄은 군사분계선(MDL) 이남 지역에서 북한의 평양~원산선 이북지역의 원거리 표적까지 타격이 가능한 무기이다.

김대우 기자/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