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교문서 공개>79년 이란 혁명, 우리 정부 공관 철수까지 검토
우리 정부가 1979년 이란의 미대사관 직원 억류 사태 직후, 공관을 철수하고 프랑스를 이익보호국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이 한국의 대이란 경제제재 동참을 촉구하면서 이란과 큰 외교갈등도 빚었다.

21일 공개된 외교통상부 외교전문에 따르면 당시 외무부 노신영 장관은 주 프랑스 한국 대사에게 보낸 극비 서한에서 “아국 공관을 철수해야 할 경우에 프랑스를 이익보호국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보안에 유의하고 ‘설악산’이라는 제하로 별도로 보고해 달라”고 밝혔다.

이는 이란의 회교혁명 성공으로 미국과 이란 관계가 급격히 악화하면서 미국 동맹국인 한국의 입지도 급격히 축소된 것에 따른 조치다. 주 이란 대사관이 1980년 10월 4일 본국에 보낸 전문에 따르면 혁명 후 새롭게 자리를 잡은 이란 외무성 인사들은 철저한 반미 정신에 기반해 우리 외교관들과 접촉시 냉담하고 위화감을 갖도록 만들었다고 문서는 전했다. 당시 전문은 이 같은 이란의 태도에 대해 “사실상 대사관의 정상적 기능이 어려울 정도”라고 묘사했다.

전문은 또 “미국의 우방국인 서유럽이나 일본과는 우리의 상황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미국과 충분한 협의와 이해가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종합적인 대이란 협력 방안과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에 외무부 중동국은 이 해 10월 6일 대이란 외교 강화방안을 수립, 청와대에 보고했다.

<최정호 기자@blankpress>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