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유가로 정유업계만 ‘好好’
지난해 4분기부터 본격화한 고유가 장세로 국내 정유사의 실적이 2009년에 비해 월등히 좋아졌다. 결국 고유가의 혜택은 정유업계만 보고, 서민들은 휘발유값 상승으로 부담만 가중되고 있는 셈이다.

9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고유가로 정제이윤(원유를 정제한 석유제품과 원유가격의 차이로 정유사가 얻는 이익)이 좋아지면서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는 등 고유가의 덕을 톡톡히 봤다.

정유사는 정제 과정에서 석유화학 제품의 기초 유분을 생산하는데 이 역시 유가가 오르면 판매가격이 오르는 제품이어서 실적 상승에 일조했다.

SK이노베이션의 정유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0조3617억원과 9854억원으로 전년보다 매출은 25.1%, 영업이익은 23배로 늘어났다. 2009년엔 1분기를 제외한 나머지 3개 분기 모두 영업이익 적자를 냈었다.

GS칼텍스는 지난해 매출액이 35조3158억원으로 전년보다 26.5% 늘었고 영업이익은 1조2001억원으로 전년대비 60.3% 증가했다. 정유부문은 매출 28조5051억원에 영업이익 4299억원을 기록해 흑자로 전환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매출 20조5290억원으로 전년보다 17.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8344억원으로 139.3%나 늘었다.

유가 상승세가 본격화한 지난해 4분기만 보면 4개 분기 중 가장 좋은 실적을 내는 등 두드러진 성적을 보였다.

SK이노베이션은 이 기간 정유부문 매출이 8조6163억원으로 전년보다 26.2%, 전 분기에 비해선 20.9% 상승했다. 2009년 적자를 냈던 4분기 영업이익은 3697억원으로 흑자 전환했고 전분기와 비교하면 2배로 올랐다.

GS칼텍스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정유부문의 영업이익은 2367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의 55%를 이 기간에 올렸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4분기에 영업이익이 4168억원으로 한해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을 차지했다.

지난해 이들 정유사의 석유사업 부문 영업이익률은 SK에너지가 3.2%, GS칼텍스가 1.5%, 에쓰오일이 2.4%였다.

최근 5년간 국내 4개 정유사의 정유부문 평균 영업이익률은 2006년 1.6%, 2007년 3.5%, 2008년 2.7%였다가 2009년엔 -0.3%로 떨어졌었다.

헤럴드 생생뉴스/onlinenews@heraldm.cl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