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중대제안은 위장평화공세 아냐”…국방위 명의 공개서한보내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북한은 2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국방위원회 명의로 남한에 보내는 공개서한에서 지난 16일 내놓은 ‘중대제안’이 위장평화공세가 아니라고 밝혔다.

공개 서한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명에 따라 우리 정부 당국과 여러 정당, 사회단체, 각계층 인민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형식으로 발표됐다.

여기서 북한은 “우리의 중대제안은 결코 위장 평화공세도, 동족을 대상으로 벌이는 선전심리전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이미 일방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자극이나 비방중상을 전면중지하는 길에 들어섰다”며 “우리의 중대제안은 결코 그 무슨 새로운 ‘도발’을 전제로 한 구실이나 마련하고 국제사회의 삐뚤어진 여론이나 바로잡기 위해 내놓은 명분쌓기는 더욱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가 통일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비방과 중상을 멈춰야 하는 쪽은 북한”이라며 중대 제안을 거부한 데 대해 자신들의 진정성을 강조한 것이다.

서한은 “우리의 주장은 외세와 야합해 동족을 겨냥하고 벌이는 침략전쟁연습을 중지하라는 것”이라며 이달 말 열릴 ‘키리졸브’ 등 한미 연합 군사훈련 중지를 재차 촉구했다. 북한은 덧붙여 “우리는 벌써 서해 5개섬 열점수역을 포함한 최전연(최전선)의 지상과 해상, 공중에서 상대방을 자극하는 모든 군사적 적대행위까지 전면중지하는 실천적인 조치들을 먼저 취하기로 했다”며 군사적 긴장을 늦추기 위한 ‘선제조치’를 먼저 취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북한은 핵 문제에 대해서는 “1950년대 미국이 1000여발의 핵무기를 조선반도에 비밀리에 배치하면서 벌어진 것”이라며 “우리의 성의 있는 노력과 완강한 투쟁으로 마련된 것이 조선반도의 비핵화”라고 밝혔다. 6자회담을 북한만의 비핵화가 아닌 핵 군축 협상으로 끌고 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 한 셈이다.

북한은 이어 “흩어진 가족, 친척들의 상봉 분위기도 마련하고 금강산 관광도 재개하며 여러 가지 북남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자는 것이 우리의 결심”이라고 강조했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북한이 김정은 유일지도체제가 확립되면서 경제 분야에서 지도력을 보여야 하는 상황에 군사대결에 드는 자원과 비용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30일 이후 취하겠다는 ‘선제적 조치’의 내용에 따라 대화의 물꼬가 트일 수 있다”며 이번 서한의 의미를 해석했다. 신선호 유엔 주재 북한대사가 현지시간으로 24일 오전 (현지시각) 유엔본부에서 자처한 기자회견도 이번 서한의 내용을 되풀이할 것으로 보인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