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변화 대응”…韓 · 美 · 中 3각 공조 시동
한·미, 北정세 협의체제 강화 본격 나서
美 고위관리 잇단 訪中…동북아 정세 협의




북한 문제를 둘러싼 한ㆍ미ㆍ중 3각 외교 채널이 바빠지고 있다. 사실상 지난 한ㆍ미 외교장관회담에서 제안된 북한 정세 관련 3자 협의 채널이 시동을 건 것으로 보인다.

윌리엄 번스 미 국무부 부장관과 김규현 외교부 제1차관의 면담의 절반 이상은 한ㆍ일 관계 대신 북한 정세와 북핵 문제 해법에 할애됐다. 번스 부장관은 미국의 한국 방어 의지를 강조하며 “북핵의 검증 가능한 비핵화 실현을 위해 한ㆍ미 공조가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외교부 당국자는 “면담 과정에서 북한 정세와 관련된 협의의 빈도와 강도를 강화키로 했다”고 전했다. 이번 차관급 대화가 이달 초 한ㆍ미 외교장관회담에서 북한 변화를 다루기 위한 양자 간, 3자 간 협의 체제를 강화하자는 합의의 연장선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최근 북한의 정세 변화와 도발 가능성에 대해 중국을 포함한 3자 협의 체제를 가동하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번스 부장관은 22일 중국 베이징에 도착해 고위 외교관리들을 연쇄적으로 만날 예정이다. 카운터파트인 부부장급 인사는 물론 왕이(王毅) 외교부장과의 면담도 추진되고 있다. 한편 대니얼 러셀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도 같은 날 정쩌광(鄭澤光)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와 함께 제5차 아시아ㆍ태평양 사무협상을 열고 동북아 정세를 논의한다. 여기서도 북한 문제는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이후 러셀 차관보는 오는 26일 한국을 방문한다. 번스 부장관이 북한 문제에 대한 한ㆍ미 간 조율된 입장을 중국 측에 설명하는 한편, 러셀 차관보가 중국이 최근 입수한 북한 정보와 미ㆍ중 간 협의된 사안을 우리 측에 피드백해주는 쌍방향 협의 채널이 작동하는 셈이다. 한ㆍ중 양국은 직접적으로는 국방장관회담을 조기에 열고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강력한 경고를 전달키로 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차후 한ㆍ미ㆍ중 전략대화를 통해 정례화ㆍ체계화될 예정이다.

원호연 기자/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