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국인 10명 중 7명 “APEC정상회의 개최지,현 경제성장·미래 청사진 보여줘야”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관 ㈜LICA, 외국인 163명 대상 실시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국내외 거주하는 외국인 10명 중 7명 가량은 ‘현대의 경제성장 현황과 미래 청사진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도시’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로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또 절반가량은 ‘APEC 정상회의 개최관련 중요 고려 요인’으로 '회의 인프라와 회의개최 편의성’을 꼽았다.

우리나라는 내년도 APEC 의장국으로 인천, 경주, 제주가 APEC 정상회의를 유치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관 ㈜LICA는 ’2025년 우리나라에서 개최예정인 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 선정’관련 온라인 설문조사를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17일까지 실시한 결과를 19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APEC회원국 및 비회원국의 국내외 거주 공무원과 민간인 16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우선, ‘APEC 정상회의 개최관련 중요 고려 요인으로는 응답자 중 45%가 ‘회의 인프라와 회의개최 편의성’을 꼽았다. 다음으로 ▷개최도시 발전(18%) ▷문화·관광·엔터테인먼트 등 문화인프라(17%) ▷APEC 정상들의 안전 확보(10%) ▷개최지 사후 활용 극대화(10%) 등 순으로 응답했다.

‘APEC정상들에게 알려야 할 한국의 장점’으로는 ‘짧은 시간 산업발전으로 이룬 세계 수준 경제의 면모(60%)’가 가장 많았다. 다음은 ▷5000년 유구한 역사와 문화유산(17%) ▷다양성을 존중하는 성숙된 민주주의(12%) ▷안보역량 및 안정된 치안(7%) ▷산림·다도해 등 우수한 자원환경(4%) 등 순 이다. 국내 거주 외국 공무원 중 72%는 ‘짧은 시간 산업발전으로 이룬 세계 수준 경제의 면모’를 정상에게 알려야 할 한국의 장점으로 꼽았다.

‘APEC정상회의 개최 도시로서 가장 적합한 도시’로는 '현대의 경제성장 현황과 미래 청사진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도시(69%)’, ‘과거의 유구한 전통과 문화를 잘 보여줄 수 있는 도시(23%)’, ‘자연경관이 좋은 도시(8%)’ 등 순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특히, ‘현대의 경제성장 현황과 미래 청사진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도시’는 93%의 외국 공무원들에게 의해 압도적으로 선택됐다. APEC회원국 시민들도 72%가 이를 선택했다.

응답자 163명의 70%가량인 114명은 인천이 APEC 의제를 달성하기 적합한 도시로 지목했다. APEC 의제 3가지 축은 무역 및 투자 자유화, 사업의 원활화, 경제 및 기술협력이다.

‘APEC 정상회의 개최로 기대되는 혜택’으로는 '한국 이미지 향상과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경쟁력 향상'(57%)이 1위로 선택되었으며, 이어서 '시민들의 국제협력 마인드 향상'(24%), ‘한국의 지역균형발전 촉진’(12%), ‘한국의 안보역량 강화와 한반도 평화확산 필요성’(7%) 등으로 나타남

‘APEC정상회의 이후 회의 시설과 다양한 사회 인프라의 지속 활용을 위한 필요 요소’로는 ‘회의 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41%)’, ‘회의 시설 유지·관리 능력(39%)’, ‘국·내외 관광객 수(20%)’ 순으로 많았다. 다만, APEC회원국 시민들은 ‘회의 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을 더욱 중요(APEC시민 전체중 46%)하게 생각했다. 반면, APEC 비회원국들의 시민들은 ‘회의시설 유지 및 관리 능력’을 더욱 중요하게(전체 APEC비회원국 시민중 53%)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PEC정상회담 개최시 세부 운영과 관련된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언어소통 장애(44%)’, ‘개최도시의 미흡한 행사 운영(27%)’, ‘공항과 숙소·회의시설 간 거리(16%)’, ‘글로벌 스탠다드에 미치지 못하는 숙박·교통·통신 시설(13%)’등 순으로 지적했다. 특히 공무원들은 ‘공항과 숙박시설·회의장 간 거리’(43%)를 가장 큰 우려 요소로 선택한 반면, 민간인들은 '언어소통 어려움'(45%)을 가장 큰 우려 요소로 꼽았다.

‘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로 선정된 후 개최도시가 최우선 추진해야 할 사항’으로는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조직·예산·인원 등 행정체제 정비(31%)’, ‘정상 회의 준비를 위한 월별 업무 계획 등 마스터플랜 수립(23%)’, ‘정상 회의 관련 회의장·통신·교통·숙박 시설 등 회의 관련 인프라 보완(19%)’, ‘한국 및 APEC 회원국에 대한 적극 홍보 확산(19%)’, ‘도시경관 정비 및 필요시 APEC 정상회담 개최 기념 랜드마크 설치(8%)’ 순으로 응답했다.

oskymoon@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