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상품, 전문가보다 친구 추천으로 가입"…국민 금융이해력 66.5점
[제공=한국은행·금융감독원]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우리나라 국민들의 금융이해력이 2년 전보다 향상됐다. 다만 디지털 금융에 대한 이해도는 고령층,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2022 전(全)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은 66.5점으로 2020년 조사(65.1점) 때보다 소폭(1.4점)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금융지식이 75.5점, 금융태도가 52.4점으로 2020년에 비해 각각 2.3점 상승한 반면 금융행위는 0.3점 오른 65.8점으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응답자 중 연령별로는 30대의 금융이해력이 69.0점으로 가장 높았고 ▷40대(68.9점) ▷50대(67.0점) ▷20대(65.8점) ▷60대(64.4점) ▷70대(61.1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소득계층별로는 고소득층(68.7점)이 중소득층(68.0점), 저소득층(63.2점)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68.7점) 응답자의 점수가 고졸(65.4점), 고졸 미만(59.3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70대와 고졸 미만 응답자의 금융이해력은 여전히 취약하지만 점수 상승폭은 각각 6.4점, 2.8점으로 커 계층별 격차는 축소됐다.

[제공=한국은행·금융감독원]

2022년부터 추가로 조사된 디지털 금융이해력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우리나라 성인의 디지털 금융이해력 점수는 42.9점으로 일반 금융이해력 점수를 크게 밑돌았다.

특히 70대 고령층(36.0점), 저소득층(39.4점) , 고졸 미만(35.9점) 등의 디지털 금융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응답자들은 금융행위 항목 가운데 장기 재무계획과 관련된 활동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저축활동(97.8점), 가계수지 적자 해소(89.1점) 같은 항목의 점수는 비교적 높았지만 장기 재무목표 설정(48.0점), 평소 재무상황 점검(55.7점)은 점수가 낮았다.

또한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 선택 시 전문적 정보보다는 친구, 가족, 지인의 추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2년간(2020년 9월~2022년 8월) 친구, 가족, 지인의 추천으로 금융상품을 선택한 경우가 58.4%로 금융기관 직원(46.2%), 전문잡지‧전문가(42.8%) 정보를 이용한 경우를 상회했다.

한은과 금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조기 금융·경제교육을 강화해 건전한 금융생활을 영위하는 경제주체로 육성하고, 최근 금융의 디지털화 등 급변하는 금융환경 하에서 저소득층과 노년층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금융 기본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경제·금융교육에 관한 글로벌 협력기구(INFE)가 제시한 표준방법론에 따라 성인 대상 금융이해력 수준을 측정해 금융·경제 교육방향 수립 및 OECD 국가간 비교 등에 활용하기 위한 조사다.

이번 조사는 만 18~79세 성인 2400명을 대상으로 조사원 면접조사로 실시됐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