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번 다니면 뼈를 묻는다” 요즘 세상에 10년 이상 수두룩 이 회사, 공무원인 줄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제약업계에선 ‘공무원’으로 통하죠.”

요즘처럼 이직이 잦은 시대에 회사 만족도의 지표로 상징되는 게 바로 근속연수다. 대부분 기업의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10년을 넘기지 못한다. 심지어 평균 2~3년인 기업도 상당수다.

유한양행이 제약업계에서 ‘공무원’으로 불리는 건 한번 입사하면 좀처럼 퇴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균 근속연수가 12년에 이른다.

[유한양행 제공]

22일 각 회사 공시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직원 평균 연봉 9100만원에 평균 근속연수는 12년 7개월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경쟁사와 비교해도 차이가 크다. 종근당(8년 3개월), 한미약품(8년 2개월), 대웅제약(6년 6개월), GC녹십자(9년 1개월) 등이다.

한 제약사 직원은 “유한양행의 직원 연봉이 높기도 하지만, 공무원이라 할 만큼 직원들 만족도가 높고 오래 다니는 걸로 유명하다”고 전했다.

실제 직장인 커뮤니티 등에서도 유한양행을 높게 평가하는 글이 다수 올라와 있다.

유한양행 창업주 고 유일한 박사 [유한양행 제공]

직원들이 오래 다니는 이유로는 연봉 수준 외에 사내 문화를 꼽는 평가가 많다. 유한양행은 고(故) 유일한 박사가 창업한 기업이다. 교과서에도 실릴 만큼 한국의 대표적인 모범 경영인으로 꼽힌다.

전 재산을 유한재단에 환원했고 자식들에게 기업을 물려주지도 않았다. 그는 “건전한 기업 활동으로 이윤을 얻으면 이는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신념으로 유한재단에 현재 가치 7000억원에 이르는 재산을 기부했고, 유한재단은 현재 유한양행 지분 15.72%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특히 이 같은 분위기는 IMF 때에도 이어졌다. 크고 작은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했지만, 당시에도 유한양행은 구조조정이 없던 회사로 유명하다.

실제 사내 문화에서도 직원을 대우하는 수평적 문화가 자리잡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유한양행 홈페이지]

유한양행 관계자는 “창업주로부터 내려온 기업 문화 속에서 사장이나 직원이나 고용된 같은 직원으로 대우 받았다”며 “창업자 사후에도 이런 기업 문화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IMF 때도 그렇고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단 한 번도 없었던 것이 평균 근속연수가 긴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k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