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의성 조계종 고운사 보물 제246호 석조여래좌상 원형 복원 한다.
이미지중앙

고운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46호) (의성군 제공)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대한불교조계종 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46) 원형 복원을 추진한다.

2일 의성군에 따르면 문화재청 지원 아래 고운사 경내에 별도 보관 중인 '하대 받침석'의 재질과 크기 등을 분석하는 연구용역을 시행했다.

연구 결과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고운사 약사전 뒤편에서 팔각형 부재를 찾아 불상과 재질·크기를 비교한 결과 하대(下臺) 받침석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문화재위원회는 최근 이 사안을 검토해 하대 받침석까지 포함해 불상 원형을 복원하기로 결정했다.

9세기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운사 석조여래좌상은 광배(빛을 형상화한 장식물)와 대좌(불상을 올려놓는 대)를 온전히 갖췄으며 손상이 거의 없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 머리칼을 붙였고, 눈과 코, 입은 작으며 허리가 잘록한 편이다. 대좌는 상대·중대·하대로 구분되는데, 일제강점기 자료인 조선고적도보에는 하대 아래에 받침석이 있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문화재청이 의뢰한 용역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석조여래좌상에 사용된 암석은 화산암 일종인 응회암으로, 하대 받침석으로 짐작되는 부재 재질도 동일했다.

직경은 상대석 70.1, 하대석 80.9, 하대 받침석 87이고, 팔각형 변의 길이는 하대석 32.5, 하대 받침석 35.5였다.

보고서는 "불상과 하대 받침석 추정 부재는 바위 종류가 같고, 비례도 맞다""89세기 통일신라 석불좌상 하대 받침석은 하대와 별도로 제작하기도 하고, 하나로 만들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내년에 완료 예정인 보존 처리는 실측 조사와 3D 스캔, 불상 해체, 세척, 조립 순으로 진행한다. 보존처리를 마치면 불상 전체 높이는 186에서 16㎝ 정도 늘어나 203가 된다.

이미지중앙

고운사에 보관 중인 '하대 받침석' (의성군 제공)


군은 석조여래좌상 원형 복원을 위해 문화재청에 관련 사업비 신청 등 복원작업을 위한 사전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문화재청 및 경북도와 협력해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후대에 온전히 물려줄 수 있도록 원형복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sg@heraldcorp.com

(본 기사는 헤럴드경제로부터 제공받은 기사입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