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인력 확보의 어려움이 지방 투자의 걸림돌”

대한상공회의소·산업연구원이 12일 수도권 주요 기업(159개사)을 대상으로 ‘지방 이전 및 신·증설 의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통·산업·문화 인프라 미비로 당연히 지방으로 가겠다는 기업이 저조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수도권 기업 10곳 중 3곳은 지방 이전이나 투자를 고려 중 이라고 한다. 대상 지역으로는 선호지역인 대전·세종·충청을 꼽은 기업이 51.4%로 가장 많았지만 부산·울산·경남(10.8%), 광주·전라(10.8%), 대구·경북(5.4%), 제주(5.4%) 등도 순위에 올라있다.

지방 이전이나 투자를 결정한 이유로는 낮은 입지 비용(4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도움이 된 정책적 지원으로는 역시 세제감면이나 공제 등 세제혜택(37.7%)을 맨 앞에 놓았다. 구체적으로 법인세 감면(58.6%)과 취·등록세 및 재산세 등 투자세액공제(27.6%)가 의사 결정에 큰 역할을 했다고 답했다. 주목할 점은 지방 이전·투자를 고려하지 않는 기업들에 어떤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면 효과가 있을지 묻자, 필요 인력의 원활한 공급(38.8%)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는 것이다. 정부의 교육개혁이 이같은 기업들의 목소리에 응답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더 켜졌다.

첨단기술산업단지의 배후에는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이 있기 마련이다.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미국의 디트로이트와 피츠버그시의 사례다. 두 도시 모두 2차산업시대의 대표적인 공업도시였는데 미국에서 철강과 자동차산업이 쇠퇴한 후에도 피츠버그지역은 인공지능(AI)과 로봇산업으로 여전히 번성하고 있는 반면 디트로이트시는 파산까지 했다. 이 차이는 피츠버그에는 카네기멜런대학과 피츠버그대학 등 연구중심대학이 있는 반면 디트로이트에는 그런 대학이 없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마침 윤석열 정부는 교육 분야 주요 국정과제 중의 하나로 지방 소재의 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겠다고 선언했다. 30여개의 ‘글로컬(글로벌+로컬l) 대학’을 선정해 5년간 1000억원씩 지원하겠다고 한다.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에 비하면 턱없이 적지만 일단 시작의 의미는 크다.

지역균형발전을 하려면 두말할 것도 없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지역에 좋은 일자리가 있어야 인재들이 몰려들고, 그 지역의 교육이나 문화도 활성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대학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인재가 확보되면 기업들이 가지 말라고 해도 지방으로 달려갈 것이다. 글로컬 대학 성공 여부에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균형 발전의 성패가 달려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