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비·투자·수출 모두 침체” 한경연, 올해 경제성장률 1.9→1.5% 하향 전망
민간 소비 심리 꺾이고 설비·건설 투자 역성장 전망
글로벌 경기 침체 얽히면서 반도체 등 실질 수출도 악화될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연합]

[헤럴드경제=김지헌 기자]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이 1.5% 수준에 머물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예년에 비해 민간 소비 심리가 꺾이고 설비·건설 투자의 역성장은 심화될 전망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역시 힘을 받지 못하면서, 경기 위축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1/4분기’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1.5%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말을 지나면서 경기위축 속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기존 1.9% 관측에서 0.4%포인트 가량 하향된 수치이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인 2.6%보다 1.1%포인트 낮아진 관측치다.

한경연은 글로벌 경기둔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국내 성장 모멘텀은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1.5%대 저성장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불황국면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분석이다.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소비·투자위축으로 빠르게 나타나는 가운데, 코로나19를 거치며 더욱 심화된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정책적 지원 여력 약화가 우려스럽다고 설명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 연준이 급진적 긴축기조를 지속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민간부채가 금융시장의 위기로 파급되어 불확실성이 증폭하게 될 경우에 성장률 감소 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며 “오랜 기간 경제여건 부실화가 진행된데다 코로나19 기간의 과도한 재정지출로 정책적 지원여력마저 떨어져 성장률 하향 전망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4%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2022년 민간소비 성장률 4.4%보다 2%포인트 낮은 수치다. 그동안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여 왔던 민간소비는 고물가로 인한 실질구매력 감소와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자영업자의 소득감소, 금리인상으로 증가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 등도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이다.

설비투자 부문은 반도체 관련 공격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다.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조달 비용부담까지 가중되며 -2.5% 수준 역(逆)성장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억제 의지로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의 경우 공공재개발 등 정부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급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공사현장의 차질과 불협화음이 지속되면서 -0.5% 성장에 그칠 것으로 한경연은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원자재가격이 상반기를 경과하며 점차 안정을 되찾고 강달러 현상 역시 완화되면서 지난해보다 1.7%포인트 가량 낮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던 실질 수출도 글로벌 경기침체 심화와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부진에 따른 영향이 작용하며 1.2% 성장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수출 성장률 3.1% 보다 1.9%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 부연구위원은 “최대수출국인 중국의 경기위축 폭이 예상보다 커지거나 반도체 이외의 주력 수출품목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수출증가세가 더욱 약화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경상수지는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145억달러(약 17조7000억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ra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