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행복지수, 세계 59위…청소년 ‘삶 만족도’는 ‘꼴찌’
한국 삶의 만족도 소폭↑…美·日 보다 낮아
자녀없이 부부끼리 사는 노인, 만족도 높아
국민 절반 “코로나 영원히 안 끝날 것”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아 두렵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 7일 서울의 한 컨벤션센터 실내 마스크 착용 안내문. [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지만,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세계 59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OECD 꼴찌를 기록했다. 또 노인 가구의 경우, 부부끼리 사는 경우가 자녀와 함께 살 때보다 만족도가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코로나19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아 두렵다고 응답했다.

한국인 행복지수, 세계 59위…아동청소년 만족도는 OECD ‘꼴찌’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2’에 따르면,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평균 점수(10점 만점)는 2013년 5.7점, 2018년 6.1점, 2021년 6.3점으로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높고, 노후 불안을 겪는 50대와 60대가 낮았다.

특히 아동·청소년 만족도는 6.6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꼴찌를 기록했다.

한국을 제외한 OECD 주요국 평균은 7.6점이다.

지역별로는 코로나19 이전까지는 농어촌 주민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이후인 2020년과 2021년에는 도시 주민의 만족도가 더 높아졌다.

한국의 행복지수는 최근 3년 평균 5.94점(10점 만점)으로 세계 59위였다. 이는 미국(16위), 일본(54위)보다 낮은 순위다.

한국인의 쉼 활동은 ‘내 집’에서 ‘혼자’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자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잘 쉬지 못하는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 부담’을, 여성은 ‘시간 부족’을 각각 가장 많이 꼽았다.

쉼 만족도는 20대가 가장 높고 40대가 가장 낮았다.

부부끼리 사는 노인가구, 자녀 동거 노인가구 보다 만족도 높아

이번 조사 결과, 노인 가구 중 노인 부부가구가 자녀 동거가구 보다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 건강, 자녀관계, 친구·지역사회 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2020년 조사에서 전반적인 삶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노인 부부가구가 52.9%, 자녀 동거가구가 47.3%, 노인 독거가구가 42.6%였다.

노인 부부가구 중 노후 생활비 마련을 ‘자녀’에게 의지하겠다는 응답 비중은 2011년 10.2%에서 2020년 4.2%로 줄었다. 자녀 동거가구(18.8→5.3%), 노인 독거가구(18.2→5.4%)도 마찬가지였다.

대신 ‘본인 스스로’ 마련하거나 ‘본인과 사회보장제도’의 도움을 받겠다는 응답이 전반적으로 늘었다.

한편, 코로나19 대유행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아 두렵다는 응답이 많았다.

올 3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조사 결과, 응답자의 54.3%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아 두렵다’고 답했다. 또 61.9%는 ‘향후 5년 내 새로운 감염병이 출현할 것 같아 두렵다’고 답변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