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합 수능, ‘유불리 논란’ 여전…‘선택과목’ 고르는 법
학습량 고려ㆍ잘할 수 있는 과목 선택해야
사회탐구, 과목간 연관성 고려해 선택해야
지난 달 24일 서울 여의도여고에서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지난해부터 시작된 통합수능에서 국어와 수학 영역에 ‘공통과목+선택과목’ 제도가 도입되면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어는 ‘언어와 매체’, 수학은 ‘미적분’ 선택이 꾸준히 늘면서 지금이라도 선택과목을 변경하는 것이 유리할지 고민하는 수험생들이 많다. 하지만 무턱대고 선택과목을 변경하기 보다는 학습량을 고려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변경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어 ‘언어와 매체’·수학 ‘미적분’ 선택↑=지난해 이미 몇 차례의 학력평가를 거치면서 국어 영역에서는 ‘화법과 작문’보다는 ‘언어와 매체’가, 수학 영역에서는 ‘확률과 통계’보다는 ‘미적분’이나 ‘기하’가 더 유리하다는 인식이 커져 해당 과목을 선택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진학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어 영역 응시자 중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비율은 3월 학력평가에서 6월 및 9월 모의평가, 11월 수능에 이르기까지 26.4% → 27.8% →29.9% → 30.0%로 점차 증가했다.

수학 영역 또한 응시자 중 미적분 선택 비율이 33.6% → 37.1% →39.3% → 39.7%로, 기하 선택 비율이 5.8% → 7.5% → 7.9% → 8.7%로 꾸준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수학의 경우, 인문/자연 계열의 영향이 없는 국어와 달리 인문계열을 고려하는 학생은 주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고 자연계열을 고려하는 학생은 주로 미적분이나 기하 과목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수능에서 미적분을 응시한 수험생의 비율은 3월 학력평가에 비해 6.1%P나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올 3월 학력평가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3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임에도 지난해 3월과 비교해 언어와 매체는 8.5%P, 미적분은 5.4%P 증가했다.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과목이 관건=그렇다면 과연 국어는 언어와 매체, 수학은 미적분을 응시하는 것이 좋은 선택일까. 상대적으로 수능 표준점수에서 높은 최고점을 받을 수 있다고 하지만 언어와 매체, 미적분을 선택하는 것이 모든 학생에게 유리한 것은 결코 아니다.

과목마다 특성이 다르므로 자신이 학습하기에 좋은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맞다.

수학 미적분의 경우, 확률과 통계에 비해 학습량이 상당하다. 동일한 점수를 받았을 때 미적분의 표준점수가 확률과 통계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는 동일한 점수일 때를 가정한 것이지 시험의 난이도와 학습량을 고려하면 미적분을 응시했을 때 더 낮은 점수를 받게 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또 미적분을 공부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다른 과목 공부에 투자할 시간이 적어진다는 것도 문제다.

따라서 대학의 인문계열 학과로 진학하기를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표준점수 때문에 미적분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신중하게 고민해야 한다.

국어의 경우, 언어와 매체는 화법과 작문에 비해 문제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공부해야 할 내용이 많아 문법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는 힘든 과목이다.

반대로 화법과 작문은 기본 학습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과목이다. 다양한 지문을 훈련해야 하므로 평소 독서량이 많고 독해력이 좋은 학생에게 유리하다. 결국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탐구, 과목간 연관성 고려해야=탐구영역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쉽지 않다. 동일한 점수를 받더라도 어떤 과목을 선택했는지에 따라 등급과 표준점수가 달라지기때문이다.

기본적으로는 자신이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되,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특히 3학년 과목 중 1개는 포함하는 것이 내신을 준비하면서 동시에 수능을 준비하기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다면 응시인원이 많은 과목을 선택해보는 것이 좋다.

사회탐구는 선택과목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서로 성격이 유사하거나 겹치는 내용이 있는 과목들을 선택하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과 윤리’를 선택한 경우 ‘윤리와 사상’이나 ‘사회문화’를 선택하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한국사’와 ‘세계사’ 또는 ‘동아시아사’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자연계열로 진학하려는 수험생은 관심 대학의 과목 지정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에서는 자연계열 모집단위에 대해 수학 영역은 미적분 또는 기하, 탐구 영역은 과탐 과목만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자연계열이더라도 모집단위에 따라 확률과 통계 및 사탐 응시자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곳이 있으니 관심 대학의 모집요강이나 전형계획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통합형 수능에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문제가 드러나고 있지만, 표준점수나 등급에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기에 앞서 과목별로 충분히 공부한 뒤 모의고사 및 기출문제를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을 파악하는 과정이 거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