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슬의생’ 이상훈 음악감독 “음악은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하는 것”
매체ㆍ장르 넘나든 다양한 활동
‘응답하라’, ‘슬의생’ 시리즈로 드라마 OST
연극 ‘작은 아씨들’, 클래식 공연 음악감독
 
문법은 달라도 음악이라는 공통점
“음악에 늘 마음의 빚…
작업의 기본은 ‘진정성’”
tvN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를 비롯해 숱한 히트작의 OST를 작업한 이상훈 음악감독은 김창완밴드의 멤버이자 작곡가, 프로듀서로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다작의 아이콘’이다. 그는 “매체는 달라도 모두 음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음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라고 강조했다. 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수많은 히트작 뒤에 이 사람의 이름이 있었다. “아무래도 난 돌아가야 겠어. 이곳은 나에게 어울리지 않아.”(‘서울 이곳은’ 중) 서울살이를 시작한 스무살 새내기들의 고단함이 묻어난 ‘응답하라1994’(tvN)의 메인 타이틀곡. 2004년 SBS ‘발리에서 생긴 일’을 통해 드라마 세계에 발을 들인 이상훈 음악감독이 업계에서 이름을 알린 계기였다. 이후 현재까지 방영된 숱한 인기 드라마의 OST는 모두 그의 손을 거쳤다. tvN ‘응답하라1988’, ‘로코퀸’ 서현진의 ‘또 오해영’, 장르물의 신기원이 된 ‘시그널’, 가장 최근작인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까지. 방송이 끝나면 음원 차트는 이들 작품 속 노래가 집어삼켰다. 가수들의 신곡을 밀어내고 드라마 OST가 차트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이상훈(48) 감독의 커리어만 놓고 보면, ‘동일 인물’이 맞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그는 유달리 캐릭터가 많다. ‘본캐’는 작곡가이자 앨범 프로듀서, 김창완밴드의 키보디스트. ‘부캐’는 드라마, 영화, 뮤지컬의 음악감독이라고 볼 수 있다. 영상과 무대 등 매체의 경계를 넘고, K팝부터 클래식까지 장르의 벽을 허문다. 2010년대엔 YG엔터테인먼트의 국내외 공연의 세션으로 참여했다. 그 시절엔 “일 년의 절반은 해외에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하는 ‘다작의 아이콘’이라 쉴 틈이 없다. 현재도 연극 ‘작은 아씨들’(10월 31일까지·드림아트센터), 내년이면 무대에 오를 뮤지컬 ‘사랑의 불시착’ 음악 작업에 한창이다. 서울 서초동 위클래식 사무실에서 만난 이상훈 음악감독은 “최근 2~3년은 자체 자가격리 중”이라며 “일주일에 7일은 밤샘 작업이다”라며 웃으며 말했다.

“아티스트의 앨범 작업부터 드라마나 뮤지컬 등 서로 다른 매체의 작업을 하지만, 공통점은 있어요. 모두 ‘음악’이라는 거죠. ‘슬픔’을 가지고 곡을 쓸 때도 다양한 문법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음을 가지고 들려주고 표현하는 것은 같아요.”

매체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 만큼 표현 방식에 있어 주력하는 부분은 다르다. 최근 막을 내린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시즌1, 2를 통해 수많은 명곡이 나왔다. 다섯 명의 주인공 ‘99즈’(조정석 김대명 정경호 이미도 유연석)의 밴드 활동을 보여준 덕에 드라마는 매회 음악이 풍성했다. 드라마 음악을 작업할 때 이 감독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스토리와 캐릭터’다.

“‘응답하라’ 시리즈나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워낙 음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작품이었어요. 무엇보다 드라마 OST는 스토리의 전체적인 방향과 캐릭터, 인물간의 관계를 잘 보여줄 수 있도록 전체적인 톤앤매너가 어우러져야 해요.”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에 삽입된 곡만 해도 무려 53곡. 극중 밴드인 ‘미도와 파라솔’ 버전에 OST용으로 가수들이 부른 버전까지 포함돼 수많은 명곡이 다시 태어났다.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의 ‘나는 너 좋아’, 본 조비 ‘잇츠 마이 라이프(It’s my life)’, 토이 ‘여전히 아름다운지’, 이적 ‘하늘을 달리다’ 등 다양하다.

이상훈 음악감독. 박해묵 기자

무대에서도 중요한 것은 “작품에 맞는 곡을 쓰는 것”이다. 연극, 뮤지컬 등 공연에서의 음악은 “공간에 따라 음악이 달라진다”는 것이 이 감독의 생각이다. 때문에 극장의 크기, 여건과 작품을 고려해 작업한다. 현재 공연 중인 연극 ‘작은 아씨들’은 “소극장 무대에 어울리는 콘셉트의 음악으로 보다 클래시컬한 창작곡”을 선보이고 있다.

이 감독은 뮤지컬 등 무대에서의 음악과 가수들의 일반적인 앨범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을 부각하느냐에 있다고 했다. 무대에서는 ‘작품’이, 아티스트 앨범은 ‘아티스트’가 주인공이 된다.

“공연예술의 음악, 특히 뮤지컬의 경우 여러 배우가 하나의 배역을 맡기 때문에 출연자가 아닌, 작품에 딱 맞는 노래의 오리지널리티가 중요한 작업이에요. 반면 아티스트의 작업은 그 가수의 이름을 가지고 나온 만큼 이 사람이 가장 잘하는 것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렇게 할 수 있어야 좋은 프로듀서라고 생각하고요.”

이상훈 음악감독의 길은 ‘도전의 연속’이었다. 그는 “ 20~30대는 도전의 연속이었다”며 “음악을 하려면 모든 걸 잘 해야 한다는 생각에 여러 작업을 하게 됐다”고 돌아봤다.

이 감독의 길은 ‘도전의 연속’이었다. 기타리스트인 형과 피아노를 전공한 누나 덕에 음악은 늘 “마음에 품은 꿈”이었으나, 정작 대학에선 디자인을 전공한 ‘미술학도’였다. 프로로 음악생활을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 그는 “20~30대는 끊임없이 도전했다”며 “음악을 하려면 모든 걸 잘 해야 한다는 생각에 여러 작업을 하게 됐다”고 돌아봤다. 지금은 사라진 밴드에서 건반을 치고 곡을 쓴 것이 그의 데뷔였다. 그러다 팀은 해체되고, ‘생계형 작곡가’로 활동하며 박혜경, 박기영 등 당대 디바들의 앨범을 프로듀싱하며 역량을 발휘했다. 지금까지 작업한 앨범만 해도 30여 장에 달한다. 연주자로 음악 활동을 시작한 만큼 세션 활동도 15년 넘게 이어왔다. 그 길에서 산울림의 건반 세션을 참여했던 것이 계기가 돼 2000년대 초반 김창완 밴드 창단 멤버로 지금까지 활동하게 됐다. 그는 “시류를 잘 탔던 덕분에 다양한 작업을 하며 20~30대를 보냈다”며 “그 시기 덕에 장르마다 깊게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흉내내는 정도는 된 것 같다”며 웃었다.

서로 다른 작업을 오갈 때 이 감독이 놓지 않는 것은 ‘진정성’이다. “음악은 결국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하는 것”이라는 철학이다. “논리적인 말보다 말없이 잡아주는 손의 체온과 감정이 더 큰 위로가 되는 것처럼 음악도 그런 것이라고 생각해요. 머리로 계산해 건네는 이야기가 아니라, 마음이 느껴져야 하는 거죠.”

이 감독의 음악들이 오롯이 그 위에 있다. 누군가의 다친 마음을 어루만지며, 같은 감정을 공유한다. “음악에겐 마음의 빚이 있어요. 학창시절 힘들 때 가장 많이 위로해준 것이 음악이었고, 그러면서 꿈을 키웠어요. 음악을 듣고 좋아하다가, 위로 받았고, 그러다 내가 이런 걸 만들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떨까 상상하게 됐어요. 그 생각만으로도 가슴이 꽉 채워지더라고요. 음악을 통해 인생을 배웠고, 채무가 있어 헌신한다는 생각으로 작업을 하게 돼요.”

25년 넘게 걸어온 길 위에서 깨달은 진리는 “음악은 세상으로 나오는 순간 사람들의 노래”가 된다는 것이다. 이 감독은 “만들어질 때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다른 의미로 위로나 감동을 주는 것이 음악의 힘”이라고 말했다.

“아무도 모르는 곡일 지라도, 누군가에겐 큰 의미가 될 수 있고, 한 시절의 소중한 음악일 수 있어요. 만들어지고 나면 그건 제 것이 아니라 온전히 듣는 사람의 것이죠. 그렇게 생각하면 음악을 만드는 일을 허투루 할 수 없어요. 어떻게 장난처럼 할 수 있겠어요. 사람들의 마음을 안아주고 위로하는 것, 이것이 제가 음악을 통해 전하고 싶은 이야기예요.”

s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