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전국이 ‘일시멈춤’인데 블랙아웃 걱정되는 전력예비율

코로나에 이어 이번엔 전력 비상이다. 해마다 1월 혹한과 8월 폭염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블랙아웃(대정전)’ 걱정은 올해도 여지없다. 이미 위기 일보 직전이다.

전국에 폭염 특보가 내려진 14일 전력거래소의 전력 수요 그래프는 순간 공급 예비 전력을 890만㎾대로 뚝 떨어뜨렸다. 전력 예비율은 10.1%에 불과했다. 각종 돌발 사고로 인한 블랙아웃에 대비하기 위한 마지노선이 10%다. 평소 30%를 유지하던 전력 예비율은 지난 12일 이후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15일에도 최대 전력 예상치가 9만MW에 달할 전망이다. ‘110년 만의 폭염’이라던 2018년 여름을 웃도는 수치다. 이미 마지노선은 붕괴된 것과 마찬가지다.

전력도 시장이고 수요와 공급에따라 반응하기 마련이다. 지금은 느슨한 공급에 집중적 수요가 발생한 상황이다. 수급 불안이란 얘기다. 매끄럽지 못한 공급의 원인은 탈원전정책이다. 현재 원전 24기 중 8기는 정비 중이다. 애초 2022년 11월까지 가동 예정이던 월성 1호기는 재작년에 조기 폐쇄됐다. 계획대로라면 벌써 가동됐어야 할 신한울 1호기는 내년 3월에나 상업운전이 가능하다. 신한울 2호기는 그보다 더디다. 적어도 서너 곳의 원전에 공급 차질이 생겼다.

지난해는 코로나 경기침체로 전력 수요가 낮아 그나마 버텼다. 하지만 올해는 경기가 깨어나는 중이다. 수출은 활황이다. 게다가 이른 무더위가 찾아왔다. 장마도 거의 끝난 분위기다. 기상청은 오는 20일부터 역대급 열대야를 예보한 상태다. 전력 수요는 집중적으로 늘어날 일만 남았다.

물론 정부가 손 놓고 있는 건 아니다. 영구 정지한 화력발전소들을 재가동하는 방안까지 검토하는 동시에 기업들에 전력 사용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다. 기업들이 평소 쓰던 용량을 줄이면 정부가 그에 대한 보상을 해준다. 하지만 그건 전력거래소와 수요반응 계약을 체결한 대기업들 얘기다. 대부분의 일반 기업은 사정이 다르다. 심지어 더 어려워졌다. 강화된 주52시간제는 휴일과 야간 근무를 어렵게 한다. 전력 수요를 야간으로 돌리는 수요 분산 여지가 줄어버린 것이다.

지난 2011년 9월 블랙아웃의 악몽은 지금도 생생하다. 당시 전력거래소는 전국적인 일시 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갑작스러운 지역별 순환 정전을 실시했다.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갇히고 양식장 물고기가 산소 공급 중단으로 폐사하는 피해가 속출했다. 늦더위에 대한 안일한 대응이 가져온 결과였다.

그나마 지금은 알려진 위기 상황이다.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부족한 전력을 빌려올 곳도 없지 않은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