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고착화된 2%대 물가, 금리인상 대비는 필수

6월 소비자물가가 2.4% 오르면서 3개월 연속 2%대 상승을 기록했다. 코로나19가 덮치기 전 한창 경기 좋았던 2018년 4분기보다 높은 물가 수준이다. 이젠 2%대 물가가 거의 고착화되는 분위기다.

게다가 6월의 2.4%라는 수치 자체도 어느 정도 마사지된 것으로 보는 게 옳다. 지금의 물가상승은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농축산물 가격 불안이 주된 요인이다.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이 각각 2.7%, 10.4%나 오르고 심지어 서비스도 1.6% 상승했는데 유독 전기·수도·가스만 4.8%나 하락했다. 에너지 생산을 온통 석유와 석탄, LNG에 의존하면서 이 유가급등 시대에 인위적인 가격통제가 아니라면 이해하기 힘든 수치다.

어쨌든 경제 주체들에게 중요한 것은 물가 상승 추세에 따른 변화다. 현재 수준의 물가라면 인플레 초입이라 봐도 무방하다. 지금 나타나는 인플레 요인은 많은 유동성과 수요 압력이다. 해소의 기미가 보이기는커녕 둘 다 더 커지는 방향이다. 수출은 활황이고 백신 접종 확대로 보복소비 경향은 점점 커진다. 코로나로 인한 물가 하방 압력은 이제 거의 사라지고 상승 압력 일색이다.

여기에 더해 3분기엔 추경으로 33조원이나 돈이 더 풀린다. 델타 바이러스 팬데믹이 우려되는 점을 제외하면 고물가로 가는 건 기정사실처럼 보인다. 정부는 연간으로 2%가 안 되는 1.8% 선에서 물가를 잡을 수 있다는 판단이지만 희망사항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의 수퍼사이클까지 거론하는 상황이다.

우리가 물가 상승에 깊은 관심을 보여야 하는 건 당연히 뒤따를 금리 인상 때문이다. 2분기의 물가는 금리 인상의 당위성을 높여주는 지표다. 안 그래도 통화 당국은 금리의 방향을 정해놓고 시기만 저울질하는 상황이다. 이주열 총재는 다양한 표현을 통해서 연내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금리 인상을 전제로 “가계 부채를 줄이라”고 대놓고 조언한다.

마침 정부도 금리 인상의 필요성엔 공감하는 분위기다. 최근 홍남기 부총리는 “금리를 소폭 올려도 여전히 낮은 상황이며 재정·통화정책의 엇박자는 아니다”고 발언했다. 31조5000억원에 달하는 초과 세수에도 고작 2조원만 나랏빚 갚는 데 사용하겠다는 입장이니 그 정도 금리 인상 용인 발언은 당연한 일이다.

금리 인상은 인기 없는 정책이다. 지금은 더 그렇다. 누가 좋아하겠는가. 하지만 때맞춰 하지 않으면 후유증은 더 참담하다. 외환위기에서 벗어나 7.4%나 성장했던 2002년에 금리 인상을 미루다 나타난 결과가 ‘카드대란’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