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K-백신 컨소시엄, 독립전쟁하는 자세로 개발에 임해야

보건복지부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9일 출범시킨 ‘K-mRNA 컨소시엄’에 거는 기대가 크다.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가 참여하는 K-mRNA 컨소시엄은 임상과 핵심 원료, 대량 생산설비 구축 등에 7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일단 내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하고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어 2023년까지 mRNA 플랫폼 기반 백신 대량 생산 체계를 확립해 연간 10억도스 이상을 생산해 국내 공급 및 수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5년까지는 mRNA 플랫폼으로 항암 백신과 차세대 혁신 신약 개발까지 가능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제약 기업들이 협업을 통해 mRNA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춰 백신 자급화는 물론 수출 기반까지 마련하겠다는 취지는 코로나 포비드가 여전한 현 상황에서 필요성을 넘어 당위에 가깝다. 컨소시엄이 비단 백신 개발만이 목표가 아니라 mRNA 플랫폼 확보를 지향한다는 점도 바람직하다. 정부까지 힘을 합쳐 민관 합동의 팀을 만들었으니 속도감과 성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코로나 사태는 세계 10위권 경제대국 한국의 실체적 위치를 실감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제조업 강국임은 분명하지만 여전한 부족한 원천기술의 민낯이 드러났다. 백신은 미국 독일 영국 등 최첨단 선진국의 전유물이 됐고 이들의 백신 자국우선주의에 우리는 ‘백신 가뭄’ ‘백신 보릿고개’ ‘백신 거지’라는 자조적인 말만 읊조려왔다.

백신은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 개발이 대세다. 화이자와 모더나도 바이든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그토록 빠른 개발은 불가능했다. 일부 제약사 단독 개발로는 코로나의 확신 규모와 속도를 따라갈 수 없었다. K-mRNA 컨소시엄을 환영하면서도 늦은 감에 안타까운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늦은 만큼 최선을 다해 속도전을 펼쳐야 한다. 코로나 극복의 유일한 길은 백신을 통한 집단면역 확보다. 한 번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해마다 맞아야 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백신 없이 감염병 해방은 불가능하다. 백신 생산기술 확보는 감염병으로부터의 독립전쟁이란 점을 인식해야 한다. 백신주권, 백신독립이란 표현은 전혀 낯설지 않다. 보건안보라는 전투용어도 마찬가지다. 지금 백신은 두 말 할 것 없이 전략물자다.

지금 세계는 백신전쟁 중이다. 전쟁에 민관이 따로 놀 수는 없다. 외적이 오면 관군과 의병이 힘을 합치는 건 우리의 전통이다. 일정표보다 빠른 결과물이 나오길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