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탄소국경세 도입·G7 선언…꿈틀대는 친환경주 [株포트라이트]
인플레·금리 이슈에 올해 친환경 지수 횡보
2차전지, 수소, 태양광 등 관련 종목 주목
상승 호재 이어지면서 리레이팅 필요 시점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지난해 급등 이후 올해 주춤하던 태양광과 풍력, 수소 등 친환경주가 반등의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최근 G7 정상회의,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 도입 등 대형 정책 이벤트가 잇따르면서 환경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수소기업 협의체 설립이 추진되면서 단기적으로 횡보를 보이던 관련 종목의 주가에 상승 흐름이 감지된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KRX/S&P 탄소효율 그린뉴딜지수’는 1월25일 1793.34포인트까지 치솟으며 친환경 종목의 상승을 예고했다. 그러나 지수는 3월까지 하향세를 그리며 1640대까지 떨어지는 등 등락을 보이며 횡보하고 있다. ‘KRX/S&P 탄소효율 그린뉴딜지수’는 한국거래소와 글로벌 지수사업자인 S&P DJI가 공동으로 만든 지수로, 탄소배출량이 적은 기업에 높은 가중치를 주고 편입비중을 결정해 지수를 산출하는 대표적인 친환경 지수로 분류된다.

2차전지 기업을 지수에 포함하고 있는 ‘KRX 2차전지 K-뉴딜지수’도 ‘KRX/S&P 탄소효율 그린뉴딜지수’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박스권에 갇혀 있다.

이처럼 친환경 관련 지수가 침체된 데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 인상 이슈가 제기되면서 높은 밸류에이션(기업가치평가)을 부여받던 친환경 관련주 주가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최근 친환경 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국내외 움직임이 활발히 일면서 친환경 산업 관련 종목이 다시 주목 받기 시작했다.

EU가 2023년 탄소국경세를 도입하는 방안을 7월중 발표하겠다고 지난주 밝혔고, 지난 주말에 열린 G7정상회의에서는 지구 기온 1.5도 상승 제한과 이를 위한 재원마련,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등의 포괄적 합의를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도출키로 했다. 국제 의제를 주도하고 미국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현대차, SK, 포스코, 효성 등 4대 그룹이 참여한 수소기업협의체 설립을 추진키로 발표했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친환경 기업들의 주가가 금리 상승으로 단기 조정을 받았지만, 국가별·기업별 수소 정책이 구체화하면서 반등 모멘텀을 확보했다”고 진단했다.

테마별로 보면, 2차전지 종목인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에 대한 리레이팅(기업가치 재평가)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보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2차전지 섹터가 주가 변동성 구간에 진입했다. 최근 변동성 구간은 반등을 대비해야 할 시기”라며 “ESG펀드의 성장과 함께 2차전지 섹터에 대한 수급요인이 강화되고, 국내 2차전지 업체들의 실적 성장을 기반으로 기업별로 하반기 풍부한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완성화 업체의 배터리 내재화 이슈 등으로 주가 상승에 제약을 받은 관련 종목이 적자에 머물러 있는 전기차 배터리 부분에서 흑자전환하면서 주가가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다.

태양광 관련주인 한화솔루션, SK머티리얼즈, OCI 등은 미중 갈등으로 중국 의존도(전 세계 물량의 80%)가 높은 태양광 발전의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수급 불안이 계속되고 있지만, 세계 각국의 정책 기조가 수요를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우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태양광 산업은 에너지 공급안정성이나 토지 부족 등의 이유로 2차전지 대비 매출 성장이 제한적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이를 극복할 솔루션이 나오면서 해당 기업들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공식 출범 추진을 알린 국내 수소기업 간 협의체 구성은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뉴인텍, 일진다이아 등에 수혜가 기대된다.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의 수소 수요는 2030년에는 1억t, 2040년에는 2억t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수소경제는 개화 초기인 만큼, 정부정책 없이 발전이 어려워 실적 및 주가의 변동성이 큰 분야”라면서도 “국가의 정책 추진과 기업들의 대응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