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화에 월백하고...가마귀 검다하고 이조년·이직 ‘인문학이 떠오르는 곳’ [남도종가의 재발견]
보성 성주이씨 참의공파 종가
서재필이 태어나고 자란 외가 보성 성주이씨 참의공파 종택.

고택 탐구과정에서도 풍요로운 인문학 잔치에 참여할 수 있다.

보성 성주이씨 참의공파 종가는 ‘이화에 월백하고’ 이조년의 다정가(多情歌)와 ‘가마귀 검다하고’ 이직의 오로시(烏鷺詩)로 유명하다.

누구든 배운 시조라서, 대학별고사-예비고사-학력고사-수능시험 까지 10~80 모든 세대가 공감한다.

성주이씨는 신라 문성왕 때 재상 이순유를 시조, 11대손인 고려 고종때 경북 성주의 호족 이장경을 중시조로 삼는다. 이조년(1269~1343)은 이장경의 5남으로 대제학에 올랐다.

이장경의 차남 이천년의 아들 이승경이 원나라에서 공적을 쌓아 중국에 세거(농서이씨)했는데, 임진왜란 명나라 지원군 대장 이여송(1549~1598)이 그 후손이라 한다. 이여송은 재중교포인셈이다. 이조년의 증손자 이직(1361~1431)은 조선개국, 왕자의난 평정으로 두번의 공신과 영의정에 올랐다. 그의 오로시는 조선개국 세력을 가마귀, 부패한 고려를 지탱하려는 세력을 백로에 빗대, 가마귀 속이 흴 수 있고, 기실 백로는 겉만 희고 속은 검다고 힐책한다. 양측의 시시비비 따져 본 것이다. 그래서 반대파 회유 만이 목적이던 이방원의 하여가(이런들 어떠리)와는 다른 뉘앙스다.

보성과의 인연은 임진왜란 이후 이성(1562~1629)이 맺는다.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출사건이 일어나자 보성 출신 안방준(1573∼1654)을 따라 보성 문덕에 은거했다.

참의공파는 다시 5대가 지나 이직의 12대손 이국진(1738~1781, 이조참의 추증)이 열었다. 그의 아들 이유원은 보성 문덕면 주암호 지류의 망일봉 아래 가내마을에 터잡았다. 책읽는 집안 답게 이유원의 아들 이기대(1792~1858)는 1만여권의 서책을 갖추고 가은당, 천상재, 일감헌 등 세 학당을 설립해, 추사 김정희, 노사 기정진, 면암 최익현 등이 학문을 탐구하고 후진을 양성토록 했다. 흉년에는 양곡을 내어 구휼하고 향약을 조직해 환난을 대비했다.

이기대의 장남 이지용(1825~1891)은 금부도사, 석성현감 등을 지냈다. 가재를 털어 빈민을 보살핀 사실이 임금에 보고돼 조선왕조실록에 기재됐고 기정진의 찬사를 받았다. 이기대의 5녀가 서광언과 혼인, 친정에서 아들 서재필(1864~1951)을 낳았다. 주암호에서 가내마을로 향하는 입구에는 서재필 기념공원이 조성돼 있다. 함영훈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