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경기회복 가시화, 우려되는 인플레와 금리상승

경기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다. 한국경제에 대한 성장 전망은 올 들어 상향조정 일색이다. 지난해만 해도 3% 성장은 희망사항이었다. 이젠 기정사실을 넘어 3% 중반대가 보통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6일 발표한 ‘2021년 연례협의 결과보고서’에서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2개월 전보다 0.5%포인트 높인 3.6%로 제시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이달 초 한국의 성장률을 3.3%로, 0.5%포인트 높였다. 심지어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3.9%까지도 본다. 주요국 경기회복 흐름과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 효과를 반영한 결과다.

소비심리도 급속히 개선되고 있다. 이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다. 26일 발표된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한 달 전보다 3.1포인트 오른 100.5로 나타났다. 3개월 연속 상승해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으로 100을 넘었다.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의미다.

우리 경제가 코로나 위기에서 남들보다 빠르게 벗어나는 건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마냥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경기회복에도 부작용이 있다. 인플레와 금리상승이다. 거의 필연적인 일이다. 굳이 상품 수량에 가격을 곱하면 총통화량과 같다는 화폐수량설을 들지 않더라도 경기회복을 위한 적극적 재정으로 돈이 풀리면 물가는 올라가는 게 정상이다. 이미 징후는 곳곳에서 나타난다. 오죽하면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최근 정책점검회의에서 식료품물가가 심상치 않다는 점을 경고하며 가공식품물가 점검을 강조했을 정도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인플레가 일시적으로 높아진다 해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했지만 이는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상황이 아니라는 걸 강조하기 위한 우회적 발언일 뿐이다. 기준금리와의 격차가 점점 커지자 시장의 실세금리 상승을 억제해 보려는 게 숨은 의도다. 실제로 그는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게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만큼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대응하겠다”고 단서를 달았다. 걱정은 한다는 얘기다.

인플레의 후폭풍은 금리로 온다. 한은의 소비심리조사 결과에서 3월의 금리수준전망지수(114)는 한 달 사이 10포인트나 올랐다. 상승폭만 따졌을 때 2016년 12월(12포인트 상승) 이후 가장 크다.

앞으로 물가와 금리의 상승은 불가피하다. 정부는 물론이고 기업과 개인도 대책을 준비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래야 속도라도 제어할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