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급대책 효과로 주택거래량은 정말 줄고 있을까[부동산360]
최근 거래량 감소는 ‘기저 효과’ 측면…작년 2월 폭증
강남권·마용성 등 일부 지역선 잇단 신고가
보유세 부담 등으로 똘똘한 한채로 수요 몰려
집값 안정 판단하기 이르다는 게 중론
서울 시내 전경. [연합]

[헤럴드경제=민상식 기자] ‘한쪽에선 급매물, 다른 쪽에선 최고가 거래…….’

‘2·4 공급 대책’ 발표 이후 주택시장에 다양한 양상이 나타나 해석이 분분하다. 일부 단지에서 시세보다 낮은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집값이 안정세에 접어드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는 반면, 강남권 등에서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들도 나오면서 집값 안정을 판단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일단 주택 거래 상승세는 꺾였다.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8만7021건으로 나타났다. 전월 9만679건과 비교해 4% 줄었고, 지난해 2월 11만5264건 대비 20% 감소했다.

주택 거래량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수도권은 4만7433건으로 전년보다 28.6% 줄었다. 지방은 같은 기간 18.9% 감소한 3만9588건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만2707건으로 전년(1만6661건)보다 23.7% 감소했다.

주택거래량이 줄고 있지만 시장 안정으로 평가해야 할 지에 대해선 이견이 많다. 최근 거래량 감소는 지난해 2월 거래량이 폭증했기 때문에 생긴 ‘기저 효과’ 측면이 있다는 해석이 대표적이다. 실제 지난해 2월은 이른바 ‘수용성’(수원·용인·성남)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의 풍선효과로 거래량이 11만건을 넘어 급증한 시기였다.

과거 5년간 주택 거래량은 월 평균 7만건 정도에 머물렀다. 지난달 거래량은 5년간 2월 평균 주택 거래량 7만227건과 비교하면 23.9% 많은 수준이다. 2019년 2월 거래량 4만3444건 대비해서는 무려 100% 늘었다.

‘패닉바잉(공포에 의한 매수)’이 확산하던 작년보다 거래량이 줄었지만 여전히 거래량이 많다는 이야기다.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서울 일부 지역에선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가 속출한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차(전용 196㎡)는 지난 15일 63억원에 신고가를 썼다. 지난달 종전 최고가보다 11억원 이상 높은 금액이다. 압구정동 신현대 12차(전용 182㎡)도 최근 57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종전 최고가보다 12억원 넘게 뛰었다.

용산동 용산파크타워1차(전용 154㎡)도 지난달 32억8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직전 최고가 대비 7억원 넘게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공시가 현실화에 따른 보유세 부담 증가 등으로 ‘똘똘한 한 채’에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분석한다. 압구정동 등 재건축 기대감이 큰 지역은 급등세가 나타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강남 등 도심 역세권에 용적률을 높여 집을 지어 공급하는 방안은 집값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 중 하나일 뿐”이라면서 “어떤 특정 요인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좌지우지되는 경우는 매우 긴박한 상황을 제외하면 없다”고 말했다.

m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