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미 연준의 단호하고 확실한 금리동결 정책 메시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현재의 0.00~0.25%에서 동결한다고 17일 발표했다.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내놓은 결과다.

결론은 시장의 예상대로다. 코로나19 여파가 여전한 이 시점에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중앙은행은 없다. 하지만 전례가 없을 만큼 표현이 명료했다. 그만큼 단호하고 확실한 통화 정책 의지를 보여줬다.

연준은 금리 동결과 함께 월 1200억달러 이상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도 유지하기로 했다. 완전고용, 물가안정이라는 2가지 목표달성에서 ‘상당한 추가 진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지금의 통화 완화 정책을 지속하겠다는 것이다. 공식 성명은 아니지만 위원들이 예상하는 금리인상 시기는 2023년이 대세였다. 시장에 이보다 확실한 메시지는 없다.

주목할 것은 연준이 성장 가속과 물가상승을 인정한다는 점이다. 연준은 올해 성장률 전망을 6.5%로 수정했다. 지난해 12월의 4.2%보다 2.3%포인트나 높다. 불과 3개월 만에 엄청난 변화다. 현재 6.2%인 실업률도 연말이면 4.5%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근원물가지수 역시 올해 목표치인 2%를 훌쩍 넘어 2.2%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온통 예상을 넘어선 경기회복 전망이다. 그런데도 연준은 금리 동결 상태에서 재정 확장 정책의 최소한 2년 지속을 단언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1조9000억달러 코로나 부양책도 별다른 저항 없이 진행된다. 미 GDP의 9%를 넘는 어마어마한 규모다. 이유는 간단하다. 경기회복이 이뤄져도 금리변동으로 이어질 만큼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에 대한 설명도 명쾌하다. 심지어 제롬 파월 의장은 “올해 물가가 2% 이상 오르더라도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며 “현재의 제로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엘런 미 재무장관은 “인플레는 작은 리스크이며 대비책도 있다”고까지 밝힌다.

미 연준의 이 같은 방침이 시장에서 통할지에 관심이 쏠렸지만 출발은 긍정적이다. 뉴욕증시는 급상승으로 화답했다. 미 국채 장기물 금리도 이틀 만에 하락했다. 불확실성이 사라졌으니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정작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한국 금융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다. 미국과의 동조화 현상이 일상화된 금융시장에선 같은 방향성을 보일 게 분명하다. 문제는 재정이다. 기축통화국 미국과 무역의존국 한국의 입장은 다르다. 청장년 사회 미국과 고령화 사회 한국의 상황은 더 다르다. 미국의 사례를 재정 퍼붓기 가속화의 빌미로 삼아선 안 될 일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