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0년대 韓추세성장률, 2%로 '반토막'
설비투자·생산성·자본총량 둔화
AI,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해야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우리나라 경제의 추세 성장률(trend growth)이 2% 수준까지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생산성 하락과 투자 부진 등이 추세 성장률 하락 원인으로 꼽혔다.

추세 성장률은 경기·불규칙·계절적 요인을 제외하고 성장률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만을 뽑아서 만든 것이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한국경제의 추세 성장률 하락과 원인'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 추세 성장률은 2000년대 연평균 3.6%을 기록했으나, 2010년대 초반 이후부터 2019년까지 근 10년간은 연평균 2%로 추정됐다.

10년 새 추세 성장률이 1.6%포인트(p) 줄어든 것이다 .

한국의 추세 성장률은 1980년대 후반 7.7%에 이렀으나 1998년 4%까지 떨어졌다. 이 '1차 하락기'의 요인으로는 '3저(낮은 달러·유가·금리) 호황' 종료에 따른 총요소 생산성 하락과 1989년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른 평균노동시간 감소 등이 거론된다.

2001년(4.4%)∼2010년대 초반(2%) 2차 하락기는 'IT(정보통신기술) 붐'이 꺼지면서 설비투자가 둔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후 추세 성장률은 2%에서 정체됐다. 전반적인 총요소 생산성, 자본 스톡(축적된 자본의 총량) 증가율이 점차 낮아진 영향이다. 이는 '생산성 역설' 현상으로 활발한 기술혁신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증가 속도가 더뎌진 데 따른 것이다.

학계에서는 "신기술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데 걸리는 실행시차, 비즈니스 역동성 감소 등이 원인이다"라고 했다.

한은은 자본 스톡 정체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불확실성이 커지자 기업의 투자 활동이 부진한 사실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양적 생산투입요소인 자본스톡 요인은 1990년대 한국의 추세성장률에 4.8%나 기여했지만, 2000년대에는 0.7%까지 감소했다.

성장률 요소 중 하나인 총노동시간은 추세 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평균 노동시간은 줄었지만 여성의 고용률 증가가 이를 상쇄했기 때문이다.

한은은 추세성장률이 생산성과 연관이 깊은 만큼, 앞으로 딥러닝을 포함한 인공지능(AI), 신재생에너지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남강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다만 이들 분야의 투자가 가시적 생산성 증대로 이어지는데도 실행시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지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아울러 AI·신재생에너지 등의 기술이 사회 각 부문으로 확산되기 위해 기술과 결합한 제품, 비즈니스 모형 등에 대한 혁신과 투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