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 코로나19 이후의 건설산업 뉴노멀

아직 조심스럽긴 하지만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바뀌었다. 한동안 뜸했던 모임이나 단체에서도 하나둘씩 연락이 온다.

그동안 방역에 치중해왔던 정부도 이제는 경제회복에 주력할 모양새다. ‘한국형 뉴딜’이란 이름으로 조만간 경기부양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들이 쏟아져 나올 것이다. 기업과 산업 차원에서는 생존과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지적했듯이, 코로나19 이전(BC)과 이후(AC)의 삶은 크게 달라질 것이다. 다시 과거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그래서인지 경제나 산업의 새로운 일상, 즉 ‘뉴 노멀(New Normal)’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건설산업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로 인해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가속화될 것이다. ‘설계-시공-유지관리’에 이르는 건설사업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급증할 것이다. 대면접촉을 줄이면서도 생산성을 높이는 데 디지털 기술이 큰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계 단계에서는 ‘건설 정보 모델링(BIM)’을 플랫폼으로 활용해 설계에 참여하는 사람 간의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다. 시공 단계에서는 사람을 대신하는 로봇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사람이 직접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시설물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태 파악과 조치가 가능해졌다.

이미 주택 분양 시 모델하우스는 사이버 모델하우스로 바뀌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현장 부지 조사나 안전관리 및 감리·감독도 활성화되고 있다. 유통시장에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기업 간 격차가 코로나19로 인해 벌어졌듯이 건설산업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의 격차가 갈수록 커질 것이다.

건설 생산 방식은 전통적인 현장 시공을 대신해 공장 제작 및 조립 방식이 활성화될 것이다. 건설자재나 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게 되면 인력 투입과 대면 접촉이 줄어들고 사회적 거리 두기도 용이하다. 게다가 공장 제작 및 조립 방식의 속도는 이미 중국에서 우한에 긴급하게 병원을 지을 때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정상적으로 건설한다면 2년은 족히 걸릴 1000개 병상을 갖춘 병원을 불과 열흘 만에 준공해서 운영한 사례를 유튜브로 보여줬다.

건설기업의 사업 전략이나 리스크 관리전략도 달라질 것이다. 중국 같은 특정 국가에 건설자재 공급 등을 과도하게 의존하기보다는 여러 나라를 활용한 글로벌 공급망의 정비에 나설 것이다. 재고 없이 ‘즉시 공급(Just-in-time)’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통념도 코로나19로 인해 바뀌었다. 적정한 수준의 재고가 있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더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확산되면서 물류창고 건설이 전 세계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빌딩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좀 더 차별화된 상품으로 건설할 것이다.

당장은 정부 재정을 통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겠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정부의 부채 규모가 급증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는 민간투자사업의 활성화가 불가피할 것이다. 중국만 해도 5월 초에 ‘인프라시설 부동산 투자신탁(REITs) 시험 업무에 관한 지침’을 발표했다.

민간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끌어들여서 부동산에 투자하던 펀드(리츠)와 같이, 인프라에 투자하기 위한 공모형 리츠를 제도화함으로써 100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자금을 끌어들이겠다는 것이다.

우리도 민간투자사업에 소극적일 이유가 없다.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대규모 예타면제 사업이나 SOC사업은 원칙적으로 재정이 아니라 민간투자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같은 사례들은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의 일부일 것이다. 미래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는 건설산업도 그야말로 새로운 뉴노멀에 대한 적응이 필요하다.

이상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