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독] 교육부, ‘온라인 개학’ 초중고에 내달 ‘사이버폭력 예방교육’ 실시
초등 저학년은 ‘이모티콘 교육’
중등 기사 활용 NIE 방식 채택
‘n번방’ ‘정준영 스캔들’도 언급

최근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교육부가 초중고교 ‘온라인 개학’ 한 달을 맞는 다음달 일선 학교에서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최근 온라인 개학 이후 ‘사이버 학교폭력’이 확산될 위험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27일 “최근 사이버폭력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스마트폰이 늘어난 점이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온라인 개학 이후 아이들이 스마트 기기에 접하는 시간이 한층 늘어나면서 일선 학교 수업중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 제작 마무리단계에 들어갔다. 다음달 초 보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헤럴드경제가 단독 입수한 교육부 학습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실시하는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사이버 어울림) 프로그램은 온라인 개학을 맞아 사이버폭력 위험으로부터 자신과 교우들을 적극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예방 역량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동영상과 파워포인트 위주로 구성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것은 물론, 향후 오프라인 개학 후에도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제작됐다.

교육부는 프로그램을 기본과 심층과정 등 42종으로 구성했으며, 교사가 수업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별 성취 기준과 연계했다. 기본 프로그램은 사이버 폭력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사이버 공감 ▷사이버 의사소통 ▷사이버 자기 존중감 ▷인터넷 윤리의식 ▷사이버 자기 조절 ▷사이버 감정 조절 ▷사이버상 갈등 관리 ▷사이버폭력 인식·대처 등 8개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심층 프로그램은 또래 간 일어나는 사이버폭력 특성을 고려해 ▷사이버 언어폭력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따돌림 ▷사이버 갈취 ▷사이버 스토킹 ▷사이버 영상 유포 등 6개 문제 유형 중심으로 꾸렸다.

초등학교 저학년이 담임 교사를 통해 국어나 도덕시간에 배우게 될 ‘사이버 공감’에서는 적절한 이모티콘과 댓글 쓰기 활동을 교육한다. 저학년들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나 환경에 원어민처럼 익숙하고 잘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원어민(Digital Native)’으로 불리나, 다양한 디지털 매체에 익숙하다는 것이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이들에게 시민과 비견되는 ‘네티즌’의 의미를 교육한다.

구체적으로 교육부는 “저학년들은 이모티콘에 대한 정확한 뜻을 모르고, 귀엽거나 재미있다는 이유로 상대방의 기분과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보내는 경우가 많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모티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온라인에서 필요한 기초 공감 역량을 키우고, 상대방의 글에서 친구의 감정을 살피는 민감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학습 자료에서는 메신저 이모티콘을 기쁨, 격려, 분노, 놀람, 슬픔 등으로 구분해 일일이 예시를 들고 있다.

중학교 과정인 ‘사이버폭력 유형과 해결방안’은 사회과목을 활용해 교육한다. 여기서는 위에 언급한 사이버 언어폭력,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따돌림, 사이버 갈취, 사이버 스토킹, 사이버 영상 유포 등 6개 유형을 관련 신문 기사를 활용해 교육하는 NIE(Newspaper In Education) 방식을 채택했다. 해당 신문기사에는 최근 ‘박사방’·‘n번방’ 사건을 반영해 ‘몸캠 피싱 주의’ 기사를 포함했으며, 지난해 ‘버닝썬 이슈’로 촉발된 ‘정준영 스캔들’도 짤막하게 언급했다.

고등학교 과정인 ‘정보화 사회의 그늘 밝히기’에서는 정보화로 인해 나타난 생활 공간·양식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화 찬반 양론이 아니라, 정보화 사회 속에 구성원들이 어떻게 상호 존중하고 소통하느냐에 따라 단점을 줄이고 장점을 높일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했다.

이미 학생에게 널리 보급된 개인 스마트폰을 활용해 조사하는 수업 방식도 채택했으며, 사이버 폭력 문제 해결을 개인적 차원과 국가적 차원으로 구분해 윤리적 판단과 규범 확립뿐 아니라 제도 정비도 필요함을 강조했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