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10만건 몰린 한시적 전화처방, 원격의료로 연결해볼만

정부가 전화를 통한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지 두 달 만에 10만건 이상이 몰렸다는 통계가 눈길을 끈다. 코로나19 사태로 병원 내 감염을 우려한 임시 조치지만 10년 넘게 논란이 되고 있는 원격의료 도입의 돌파구가 될 가능성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전화처방은 보건 당국에 의하면 지난 2월24일 시작돼 4월 12일까지 10만3998건을 기록했다. 참여 의료기관은 의원급이 대부분이나 상급을 포함한 종합병원도 100곳이 넘었다. 보건당국은 원격의료라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전화 상담과 처방은 비대면 진료라는 점에서 기초적 형태의 원격의료다. 이 같은 근거를 토대로 수면 아래 잠복해 있는 해당 사안을 다시 끌어내 본격 논의할 필요가 있다.

수요자인 환자 입장은 긍정적이다. 일단 10만건이 넘는 폭발적 반응이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특히 단순 고혈압 등으로 한두 달에 한 번씩 같은 약을 처방받기 위해 의료기관을 찾아야 하는 환자들은 전화 진료에 대체로 환영하는 모습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도 “국민이 잘 이해하시고 의료현장에서도 만성질환이나 연령대가 높은 어르신을 중심으로 비대면 진료가 적절하게 잘 활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이런 부류의 환자가 많은 동네의원 입장에서도 만족해하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만하면 긍정적 방향으로 적극 논의할 여건은 충분하다고 본다.

의료계 전체로는 반대 분위기가 여전히 확고하다. 의료계는 전화진료가 원격의료 논의로의 연결을 경계하며 ‘대면 진료가 원칙’이라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전화 상담 및 처방은 코로나19로 인한 한시적 조치일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환자의 말뿐 아니라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각종 검사 자료를 종합해야 정확한 치료가 이뤄진다는 의료계 반론이 틀린 건 아니다. 하지만 만성질환자나 도서벽지의 경증질환자 등은 원격의료가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의료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서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이제는 집에서 학교 수업을 받고 직장 업무을 보는 게 전혀 낯설지 않다. 코로나19 사태로 우리 사회의 기본 질서에 그만큼 많은 변화가 생긴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비대면 산업의 적극 육성을 강조한 바 있다. 더욱이 원격의료는 세계적 추세다. 일본의 경우 원격의료를 넘어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까지 허용하고 있다. 더 이상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 압도적 의석을 확보한 여당도 관련법 개정에 적극 나서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