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 컨벤션 행사, 취소나 연기가 능사 아니다

‘코로나19’가 우리 사회의 모든 이슈를 집어 삼킨 지 벌써 두 달이 지나가고 있다. 전국의 컨벤션센터에서 행사가 사라진 지도 그만큼 시간이 흘러가고 있다.

며칠 전 마이스(MICE )업계에 함께 몸담은 몇몇 대표에게 근황을 물었더니 대부분 집에 머물면서 전화로 외부인들과 접촉하고 있다며 직원들이 지난달부터 아예 출근을 멈춘 회사도 여럿이라고 한다. 일이 없으니 재택근무가 아니라 사실상 휴직상태라는 설명인데 차마 민망하여 유급인지 무급인지는 물어보기도 어려웠다.

지난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코로나19로 인한 서비스 분야 타격’ 자료에 의하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외국인 입국자 수가 93.2% 줄어들었다. 또 한국데이터거래소(KDX)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을 보면 최근 두 달 사이에 88.8%의 컨벤션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었다고 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사람이 모여야 먹고 사는’ 우리 컨벤션 업계가 겪는 암담한 현실은 이제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이런 상황이 앞으로도 2~3개월 더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 더 심각한 문제다. 과연 몇 개의 회사가 그 기간을 버텨낼 수 있을까. 컨벤션 업계의 평균 직원 수가 20~30명, 평균 매출액이 20억~30억원, 평균 영업이익률이 5% 안팎임을 감안할 때 컨벤션 행사로 인한 수입 없이 업체들이 향후 2~3개월을 더 버텨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현재와 같이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상황이 5~6월까지 이어진다면 중소기업인 컨벤션업계 대다수 업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도 먼저 사라지게 될 것이 분명하다.

국가경제 전반이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전례없는 위기에 처하다 보니 정부기관이나 지자체들로부터 코로나19 피해상황과 원하는 대책을 알려달라는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딱 떨어지는 명쾌한 해답을 내놓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19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회의에서 중소, 상공인들을 위해서 50조원에 이르는 비상금융조치가 발표되었지만 역시 희망을 갖기는 어렵다. 아무리 해법찾기가 어렵다고 해도 결국 컨벤션행사를 재개하는 것 말고는 업계가 난국을 타개할 다른 대안은 없다는 점은 명확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

해외에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를 전면통제할 수 없는 탓에 ‘특별입국절차’를 시행하듯이 컨벤션 행사도 전면통제만이 능사가 아니다. 오는 4월 15일 총선도 비상시국이지만 연기하는 대신 ‘마스크를 착용하고 1m 이상 간격을 두고 줄서서 투표하라’ 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지침을 보완책으로 그대로 치르지 않는가.

문화체육관광부는 조속히 관련 전문가를 모아서 컨벤션 행사 개최 기준과 지침을 만들고, 늦어도 4월부터 국내에서 열리는 모든 컨벤션 행사가 더 이상 취소되거나 연기되지 않도록 조치해 줄 것을 간곡히 당부 드린다. 지금 상황이 그대로 대책없이 이어지면 우리 컨벤션 업계는 물론 대한민국 경제활동 인구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서비스업계 종사자들은 ‘코로나19’보다 더 무서운 생존의 위협에 처할 것이기 때문이다.

오성환 마이스협회 고충처리위원장 이오컨벡스 대표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