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파민 신경세포 잠들면 파킨슨병 유발된다
- IBS 연구진 규명, 별세포에서 분비되는 ‘가바’ 조절로 파킨슨병 근본 치료 기대
광유전학방법을 도파민 신경세포에 적용하여 파킨슨병 유도 및 치료 모식도.[IBS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면 파킨슨병이 유발된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10일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연구단장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별세포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면 파킨슨병이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해 파킨슨병이 유발된다는 기존 이론과는 달리 도파민 신경세포가 살아있는 상태에서도 파킨슨병이 유발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파킨슨병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나이가 들수록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우리 뇌 속에는 운동에 꼭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있는데, 기존에는 중뇌에서 도파민 생성 기능을 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하면 각종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파킨슨병에 걸린다고 생각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반응성 별세포에서 분비된 과도한 ‘가바(GABA)’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여 파킨슨병을 유발시킴을 밝혔다.

별세포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다. 반응성 별세포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과도하게 분비한다. 도파민 신경세포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억제돼 도파민 생성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잠들었다’고 한다.

연구팀은 도파민 부족으로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긴 파킨슨병 쥐를 준비한 후, 별세포의 가바 생성을 억제하는 마오비(MAO-B) 억제제를 이용해 반응성 별세포의 과도한 가바 분비를 막는 실험을 진행했다. 가바 양을 줄이니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지 않아 도파민 생성이 원활해졌고 운동기능 이상 증세가 완화되었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쥐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빛으로 자극하는 광유전학적 실험을 진행했다. 빛자극으로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거나 깨운 후, 그에 따른 걸음수 변화를 관찰했다. 정상 쥐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면 걸음수가 줄어들고, 파킨슨병 쥐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깨우면 걸음수가 늘어났다.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어 있을수록 걸음수가 줄어들고 파킨슨병 증상을 보임을 증명했다.

현재 파킨슨병 치료는 레보도파라는 약물로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하는 방법이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장기간 레보도파를 복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파킨슨병 초기에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도파민 생성 기능을 멈춘 상태이지만 아직 사멸하지 않고 살아있다. 이 때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재우는 가바를 조절하면 파킨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창준 단장은 “별세포 연구로 기존 파킨슨병 이론을 뒤집어 파킨슨병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며 “향후 파킨슨병의 근본적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1월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이번 연구에 참여한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인지 교세포과학 그룹.[IBS 제공]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