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교통정책에 활용한다
철도연, 분석 플랫폼 개발중
SOC 사업 타당성 판단 연구
평가지표 구성 [철도연 제공]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모빌리티 빅데이터’가 교통정책 솔루션에 활용되는 시대가 머지 않아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사람, 차량,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모빌리티 빅데이터로 수천억원 단위로 이뤄지는 교통 SOC 사업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시스템 개발 연구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교통영향 분석을 위한 플랫폼(Platform for Impact Analysis·PIMA)을 개발하고 있다.

철도연 이준 연구원은 3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ICT 기술이 발전하고 교통 플랫폼 회사들이 등장하면서 교통투자 사업이나 교통 인프라 형태가 큰 변화를 겪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국가의 교통정책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철도연은 수년 뒤에는 PIMA를 통해 교통지표, 경제지표, 사회지표, 환경지표, 건강지표 등 다섯가지 기준으로 전반적인 교통투자 영향을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이중 교통지표에는 대중교통 통행시간, 대중교통 버스·지하철 접근성, 승용차 이동 시간 등 모빌리티 데이터가 활용된다. 대중교통카드, 통신, 내비게이션, 디지털 운행기록계(DTG) 등으로 얻는 데이터를 활용해 교통수요 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전세가, 세수액, 상업매출액, 고용자수 등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교통사업의 경제적 가치도 검토된다. 나아가 온실가스 감축효과, 녹지면적 변화, 서울-지방 간 연계성 등 환경 영향성도 고려된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사업이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들여다보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는 게 철도연의 설명이다.

이준 연구원은 “기존에는 비용·편익 등을 병렬적으로 놓고 경제성 분석을 해왔다”라며 “그러나 이 툴을 활용하면 ‘대중교통 수요는 높지 않지만 공공시설 접근성이 높아지고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크다’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 여러 가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판단이 가능해진다”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까지 PIMA 분석 툴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후 데이터를 모아 사업을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데이터의 신뢰도 제고가 한계로 거론되는 점에 대해서 그는 “미국, 호주 등 선진국은 공공과 민간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허브가 잘 구축돼 있는 반면 한국은 초기 단계인 것이 사실”이라며 “최적의 교통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정부와 네이버·다음 등 국내 플랫폼 사업자를 비롯한 국내 통신 3사와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지적했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