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WHO, “폐렴도 백신으로 예방”…환자별 접종 방법
11.12 세계 폐렴의 날, 사망원인 3위로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매년 11월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이다. 폐렴 그 자체로든, 다른 병의 악화 경로에서든 폐렴은 중요한 생사의 갈림길, 십자로에 있다.

잘 관리하면 살고, 관리하지 못하면 죽는다. 어느새 국내 사망원인 4위에서 3위로 올랐다. ‘폐렴의 날’이 지나도, 언제 어디서 어떤 경로로 감염될지 모를 폐렴은 두고두고 기억해야 한다.

“폐렴 까지 왔다는구먼. 쯧쯧”하는 말이 나오지 않게, 미리미리 가족, 친지, 벗들을 둘러보고 반드시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백신으로 예방가능한 사망질환’에 폐렴구균 질환 선정했다. 과거 죽을 병을 주사 한 방으로 나을 가능성이 있음을 WHO가 인정한 것이다.

11월 12일 폐렴의 날은 아동폐렴글로벌연합(The Global Coalition against Child Pneumonia)이 폐렴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높이고, 폐렴 치료를 위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했다.

▶상세불명, 환자 10년새 4배 증가=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2015년부터 사망원인 4위에 머무르다 2018년 뇌혈관질환을 제치고, 암, 심장질환에 이어 사망 원인 3위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는 10만명 당 45.4명으로 사망자수는 2만328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인 2008년 사망률은 10만명 당 11.1명이였으나, 2018년에는 45.4명으로 4배 넘게 급증했다.

진료비는 2018년 9,865억 원으로 2014년 6,440억 원 대비 약 53% 늘었다.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은 다빈도 입원 상병 순위에서도 3위에 꼽힐 만큼 질병 부담이 큰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평가 대로 폐렴구균 질환은 백신으로 예방가능하다. 폐렴구균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으로 인한 폐렴구균 폐렴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다. 특히 당뇨병, 만성폐질환, 만성심혈관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거나, 염증성장질환 등으로 면역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병률이 높아 특히 주의가 요구된다.

▶질환 있으면 폐렴 발병확률 3~10배= 연구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생 위험이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폐렴 발병률은 7.7~9.8배, 당뇨병 환자는 2.8~3.1배, 만성심질환 환자는 3.8~5.1배로 나타났다.

2014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면역 억제제 치료를 받거나 면역억제 상태에 있는 환자에서는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생 위험이 4.1~7.1배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8

고형암으로 인해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폐렴구균 폐렴 발생 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018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화학항암치료를 받는 고형암환자의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발생 위험은 건강한 성인보다 40~50배 높게 나타나며, 치사율은 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연령 및 질환의 영향으로 면역반응이 전체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면역노화현상에 의하여 폐렴구균 등 감염 질환에 취약하게 되나, 골다공증 환자는 심각한 면역저하자와 달리 예방접종에 의한 면역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백신을 반드시 접종하여 폐렴구균, 독감 등 예방이 가능한 감염질환을 피해야 한다.

▶만성질환자 접종 방법= 대한감염학회(KSID)는 18세 이상 만성질환자, 뇌척수액 누수, 인공와우를 삽입한 환자, 면역저하자와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에 대해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을 순차적으로 접종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만성질환자는 만성 심혈관 질환, 만성폐질환, 당뇨병, 알코올 중독, 만성간질환을 포함한다. 면역저하자는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저하, HIV 감염, 만성 신부전 또는 신증후군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씨 병, 종양질환, 다발성골수종, 고형장기이식, 장기간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거나 방서선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포함한다.

특히,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는18세에서 64세 만성 질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하고 1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 65세가 되면 이전 접종 후 5년이 지나서 1회 재접종하여 총 2회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는 65세 이상 만성질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한 후 1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면역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미국 질병관리센터 예방접종자문위원회 가이드라인(ACIP)에 따르면,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우선 접종한 후, 최소 8주 후 23가 다당질백신을 1차 접종하고 5년 후 2차 접종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염증성 장 질환자, 골다공증 환자의 폐렴 예방접종= 대한장연구학회에서도 염증성 장질환 환자 예방접종 체크리스트를 통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권고했다. 19세부터 64세 이하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 접종 후 최소 8주 후에 23가 다당질 백신을 접종하고, 5년 후 23가 다당질 백신을 추가 접종할 것을 권고하며, 65세 이상 환자는 13가 단백접합백신 접종 후 최소 8주 후에 23가 다당질 백신을 접종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또한 면역억제제 투여 시작 전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권고했다.

대한 골다공증학회는 최근 골다공증 환자의 예방접종표를 업데이트하여, 19세부터 64세 이하의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의 접종을 최소 1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접종할 것을 권고했으며, 이미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한 경우는 1년 후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하고, 65세 이후 5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 백신을 재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