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 WM 이중삼중 ‘스크리닝’ 친다…공격적 영업 줄어들 듯
우리·하나銀 의사결정 체계 보강
‘신속’에서 ‘신중’ 추구로 선회
신한·국민, 3~4중 의사결정 유지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주요 은행들이 자산관리(WM) 부문에 이중삼중 ‘방어벽’을 치고 나섰다.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F) 손실에, 라임펀드 환매중단 이슈가 떠오르며 은행과 고객 양쪽에 미칠 리스크(위험) 차단이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DLF 투자자 손실을 촉발해 당국 검사를 받고 있는 우리·KEB하나은행은 투자상품 업무 기조를 대폭 바꾼다. 핵심은 ‘신속한 의사결정-공격적 영업’에서 ‘신중한 검토-객관적 사후관리’로의 전환이다.

두 은행이 최근 연달아 내놓은 WM 부문 혁신안에는 투자상품 판매를 검토·결정한 뒤 고객에게 판매하는 일련의 과정에 스크리닝(screening) 절차를 추가하는 방안이 담겼다.

우리은행은 그간 의사결정 구조가 다른 은행에 견줘 상대적으로 간략했다. 각 부서의 팀장 이하 실무자들이 상품을 1차 검토한 뒤 상품선정위원회에 올리는 식이다. 상품선정위 전결권자는 부서장(부장)이었다. 신속한 의사결정을 중시했다.

이 은행은 앞으로 상품선정위의 전결권자를 부장에서 WM그룹장으로 바꾼다. 임원선까지 상품의 리스크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품선정위에는 은행 소속이 아닌 전문가 2명(증권사·운용사 출신)을 배치해 객관적으로 투자상품을 검토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외부 전문가에게 상품별 판매 현황 등 사후관리까지 맡기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그간 각 부서 실무자들이 참여하는 투자상품협의체와 내부통제부서(리스크관리부)의 1차 검토를 거쳐 상품위원회가 판매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정지었다. 앞으로는 리스크관리그룹장(부행장)이 주재하는 리스크관리운영위원회 검토 절차가 추가된다.

또 하나은행은 투자상품의 사후검토를 맡는 위원회 성격의 조직을 만든다. 은행 관계자는 “은행 외부의 전문가들이 참여한다”며 “금융학자, 투자 전문가 등 다양한 인사들로 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기존에도 비교적 촘촘한 상품 의사결정 체계를 운영했다. ▷투자상품위원회 ▷투자상품협의회 ▷상품선정협의체 등으로 이어진다.

WM그룹장 등 임원들이 참여하는 투자상품위는 은행의 상품 운영 ‘기조’를 결정한다. 투자상품 유형별로 어떤 자산이 편입되는지를 보고, 필요하다면 판매한도까지 큰 틀에서 결정한다. 후속 협의회와 협의체는 시장 상황을 감안해 구체적인 상품별 판매 전략을 세우고 운용사를 결정한다.

KB국민은행은 담당 실무자 선에서 1차로 검토한 투자상품 판매 계획을 투자상품협의체가 이어 심의한다. 이 과정에서 리스크·준법 부서의 합의를 받아야 한다. 이후 최종적으론 WM상품위원회가 상품 출시 여부를 가린다.

한 은행 WM 담당 임원은 “의사결정에서 판매에 이르는 과정을 신속하게 가져가는 것보다는 중간에 의견을 두루 취합해 숙고하는 절차가 길게 보면 리스크 관리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투자상품을 판매하는 채널이나, 고객이 가진 자산 규모에 따라 투자에 상한을 두는 방안도 나왔다.

우리은행은 고위험 사모펀드의 경우 금융자산을 3억원 이상(반기기준) 가진 사람만 가입할 수 있는 투체어스(TC)프리미엄센터에서, 프라이빗뱅커(PB)를 통해서만 취급할 계획이다. 일선 영업점에선 공모펀드, 원금보장형 주가연계특정금전신탁(ELT) 등만 판매하도록 한다. 하나은행도 고객이 가진 금융자산에서 고위험 투자상품을 투자할 수 있는 한도를 설정할 계획이다.

신한·국민은행은 채널별, 고객별 등으로 따로 투자 제한을 두고 있진 않다. 두 은행은 DLF 사태가 불거지며 고위험상품 투자에 제약을 두는 방안 검토했다. 내부적으로 “고객의 투자권을 제한한다”, “현장 PB의 판단에 맡기는 게 좋다”는 중간 결론을 내린 상태다.

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