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수한의 리썰웨펀]해군 이지스함, 올해 北미사일 5회 탐지실패…국산 이지스함 개발 돌입
-북한 올해 11회 미사일 시험발사
-해군 이지스함 그 중 6회만 탐지
-군, 신형 국산이지스함 개발추진
-기존 이지스함 후속함 별도 제작
현대중공업이 10일 방위사업청과 총 6766억 원 규모의 '광개토-III Batch-II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현대중공업이 건조하는 이지스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도입하는 차세대 이지스함 3척 중 첫 번째로, 울산 조선소에서 건조해 오는 2024년 11월 인도할 예정이다. 사진은 현대중공업이 지난 2008년에 인도한 우리나라 최초의 이지스 구축함 '세종대왕함'의 모습.[연합]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해군의 첨단 이지스함이 올해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5차례나 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해군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이지스함은 지난 5월 4일과 9일, 7월 25일, 8월 2일, 9월 10일 발사된 북한의 미사일을 제대로 탐지하지 못했다. 북한은 지난 5월 4일 이후 최근까지 모두 11번 미사일을 발사했다.

해군은 이지스함의 탐지 실패 이유에 대해 “합참으로부터 사전정보(징후)에 의한 출동명령 하달받지 못함”, “사전정보 및 출동명령 받았으나 당시 이지스함의 탐지 가능 범위에서 벗어남”, “이지스함 전투체계 업로드가 늦어서 2발 중 1발만 탐지” 등의 답변자료를 보냈다.

이날 오전 육해공군 3군 통합기지인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해군 국정감사에서는 이런 내용이 거론돼 정종섭 자유한국당 의원은 “북한 미사일에 대해 이지스 레이더가 별로 기능을 할 수가 없는 것 아니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심승섭 해군참모총장은 이에 대해 “이지스함은 고도, 지구곡률 등 탐지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 (북한 미사일을) 100% 다 탐지했다”며 “(탐지 실패한 사례에 대해서는) 추가로 확인해 별도 보고하겠다”고 답변했다.

해군은 현재 세종대왕함과 율곡이이함, 서애류성룡함 등 3척의 이지스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3척을 추가 건조할 예정이다.

한편, 해군은 기존 7600t급 이지스함과 달리 국내에서 개발된 차기 이지스함(6000t급)의 ‘탐색개발(기본설계)’ 단계에 올해 진입한다.

해군은 이날 국정감사 업무보고 및 보도자료에서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건조계획은 지난해 기본전략안이 국방부 장관이 주관하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의결됐고 올해 안에 탐색개발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KDDX는 현재 6대가 운용 중인 4200t급 한국형 구축함(KDX-Ⅱ)보다는 규모가 크지만, 해군 기동부대의 주전력인 7600t급 이지스 구축함(KDX-Ⅲ)보다는 규모가 작다. 하지만 순수 국내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는 전투체계를 탑재하는 첫 이지스 구축함으로 최첨단 전력화가 예상된다.

KDDX와 별도로 개발되는 신형 이지스 구축함(KDX-Ⅲ 배치-2)은 올해 상세설계 및 함 건조 등 체계개발 단계에 돌입해 2020년대 중반 이후 전력화가 완료된다.

해군은 “이 (신형) 이지스 구축함의 전력화는 탄도탄 요격능력 구축과 동시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현재 이 ‘배치-2’급‘ 신형 이지스 구축함에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이 강화된 SM-3급 대공방어체계를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단거리 수직이착륙기 운용이 가능한 대형수송함(LPX-Ⅱ), 기동부대전력과 협동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합동화력함 등에 대한 확보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 현재 개념설계 단계에 있는 대형수송함의 전력화 시점은 2030년대로 예상했다.

대구급 호위함(FFX 배치-2)은 현재 후속함 건조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8월 전력화 했으나 추진체계 등에 문제가 발생해 운용이 중단된 ‘배치-2’ 1번함 대구함은 조만간 실전 배치되고, 2번함인 ‘경남함’은 지난 6월 진수식을 가졌다. 3번함은 다음 달 중 진수식이 열릴 예정이다.

해군은 더욱 성능이 향상된 ‘배치-3’, ‘배치-4’ 호위함도 확보해나갈 방침이다.

잠수함 전력은 지난해 3000t급 잠수함 1번함인 도산안창호함(KSS-Ⅲ 배치-1)이 진수됐고, 후속함이 2020년대 중반까지 확보된다.

또 지난해 성능이 개량된 잠수함(KSS-Ⅲ 배치-2)의 기본설계가 마무리돼 체계개발 착수 준비 단계에 있다.

해군은 이날 대잠수함 능력 강화를 위해 해상초계기와 해상작전헬기를 추가 도입하고 기존 해상작전헬기(링스)의 성능 개량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해군은 또 유무인 전력의 복합운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 무인항공기 소요 반영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개혁 2.0과의 연계 하에 효율적인 지휘통제를 하기 위해 부대구조도 개편된다.

해군은 2022년 현재의 제6항공전단을 항공사령부로 개편하고 현재의 제7기동전단을 2025년 기동함대사령부로 개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군은 “해양안보환경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 주변국의 해군력 강화와 공세적 해양활동 증가, 초국가적 및 비군사적 위협요인의 다양화와 범위 확대로 다변화하고 있다”며 기동부대와 해역함대 작전능력을 강화하고, 주요 핵심전력을 확보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