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콩시위-무역합의 엮는 美…금융시장 촉각
美행정부, 평화해결 잇따라 촉구
“中이 알아서 할 일”에서 입장 선회
홍콩 지렛대로 무역협상 돌파 속셈
中 조기진압 가능성 여전…9월 분기점
지난 18일 홍콩 정부청사 앞에서 열린 송환법 반대, 경찰 강경 진압 규탄 집회에 참가한 시위대의 모습.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미국이 홍콩 시위 사태와 관련해 평화적 해결을 미중 무역협상과 연계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면서, 홍콩 시위를 바라보는 금융시장의 민감도도 높아지는 모습이다. 홍콩 시위는 홍콩 부동산시장 타격 및 중국 경제 경착륙, 글로벌 경기 침체 가속화, 안전자산 쏠림 현상 강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의 ‘블랙스완(예측 불가능한 초대형 사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0일(현지시간) 경제방송 CNBC에 출연해 “만약 홍콩 시위가 톈안먼 광장 사건처럼 폭력으로 끝난다면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합의에 도달하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무역협상이 진전되기를 바라고, 홍콩 문제도 평화적으로 해결되길 바란다”며 “이것이 중국과 미국 모두에게 좋은 결과일 것”이라고도 말했다.

최근 며칠새 미국은 홍콩 시위의 평화적 해결을 무역협상과 연계해 촉구하는 꾸준히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 “그들(중국)이 폭력을 행사한다면 무역합의가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날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미국이 중국과 무역협상을 하려면 중국이 (홍콩 일국양제) 약속을 존중해야 한다”며 “홍콩에서 폭력적인 사태가 벌어진다면 우리가 협상을 하긴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홍콩 시위는 폭동”, “중국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언급하고, 이어 13일에도 “모든 이들은 진정하고 안전하게 있어야 한다”는 수준의 형식적인 발언을 한 것을 두고 홍콩 시위 사태의 파장이 미국의 방치 상황에서 예상보다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불개입에서 개입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분위기가 바뀌어다는 평가다.

박상현 키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시위를 미중 무역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한다는 것은, 홍콩 시위와 미중 무역협상 리스크가 동시에 완화될 수도 있음을 뜻하다”고 말했다.

홍콩 문제를 대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분위기 변화는 중국 정부의 강경 기조로 교착상태에 빠진 미중 무역협상의 돌파구를 홍콩 시위에서 찾아보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는 미국 경제 또한 침체 위험에 노출시켜 현 행정부로서도 부담 요인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홍콩 시위에 대한 무력 진압이 강행되는 상황 자체만 놓고 보더라도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와 중국간의 외교 갈등 격화 ▷미중 무역합의 중단 ▷글로벌 경기침체 심화 ▷중국 개방정책 후퇴에 따른 글로벌 자금의 탈(脫)아시아 등 문제가 연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홍콩 시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부동산 버블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이에 따른 금융시장 시스템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행정부가 홍콩 사태에 거리를 두기 어려운 이유다.

다만, 체제안정 측면에서 중국 내 강경론이 득세하고 있어 무력 진압의 잠재 위험은 여전하다는 평이다. 최근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홍콩 사태에 대해 무력 개입 대신 엄정한 법 집행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긴 했으나, 또 다른 소수민족 시위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기 진압 필요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박상현 이코노미스트는 “결국 경제보다 체제를 중요시 하는 중국 정부 입장에서 홍콩 사태를 장기간 방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9월이 홍콩 시위의 중요 분수령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달 상하이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9월 중 워싱턴DC에서 다시 만나자는 데 합의한 바 있다.

hum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