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0년 후 지구위협할 소행성 국내서 최초 발견
- 천문硏, 외계행성탐색시스템 통해 관측, 직접 탐사가능한 후보 소행성도 발견

천문연이 발견한 소행성 궤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오는 2063년 지구와 충돌가능성이 있는 ‘지구위협소행성’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됐다. 다만 실제 이 소행성의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은 28억분의 1로 우려할 단계는 아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해 8월 외계행성시스템(KMTnet)을 활용해 발견한 새로운 천체가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로부터 지구위협소행성으로 확인받아 ‘2018 PP29’로 명명됐다고 25일 밝혔다. 

2018 PM28 발견 영상 캡쳐.[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천문연은 이에 앞서 미래 탐사임무에 적합한 또 다른 천체를 발견했고,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를 근지구소행성(NEA, Near Earth Asteroid)으로 분류, 임시번호 ‘2018 PM28’이 부여됐다.

지구위협소행성이란 지구 공전궤도 근처에 분포하는 근지구소행성 중에서 지름이 140m 보다 크고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거리가 0.05AU(약 750만km) 보다 가까운 천체를 말한다.

천문연 문홍규 박사팀은 지난 2018년 8월 칠레, 호주, 남아공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두 소행성을 검출했다. 이어 PM28과 PP29에 대해 각각 44일과 10일 동안 그 궤도 운동을 추적해 정밀궤도를 얻는 데 성공했다. 

지구위협소행성 PP29는 발견 당시의 밝기와 거리 그리고 소행성의 평균반사율을 고려하면 크기 160m급으로 추정된다.

지름 140m급 천체와 충돌할 경우, 반경 수 백km 지역에 재난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2018 PP29 발견 영상 캡쳐.[한국천문연구원 제공]

PM28은 크기가 직경 20~40m 사이로 추정된다. 궤도는 지구위협소행성의 조건에 부합하지만, 충돌이 일어났을 때 반경 수 백km 지역에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140m 보다 작아 지구위협소행성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연구팀의 계산 결과, 향후 100년 동안 PM28은 충돌 위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PP29의 경우,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센트리 시스템은 PP29가 2063년과 2069년 지구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2회의 충돌 확률은 약 28억분의 1로, 아직 우려할 단계는 아니다. 다만 미래 충돌위협을 구체적으로 예측하거나 소행성 탐사 임무 대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밀궤도와 자전특성, 구성 물질과 같은 다양한 성질을 추가적으로 밝혀야 한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한편 천문연은 지난 2015년 말부터 외계행성 탐색 외에 초신성, 은하, 소행성 등 다양한 연구목적으로 KMTNet을 운영하고 있다. KMTNet은 칠레와 남아공, 호주에 설치, 운영하는 24시간 ‘별이 지지 않는’ 남반구 천문대 네트워크로 보름달 16개가 들어가는 넓은 하늘을 한 번에 촬영하는 카메라를 탑재, 외계행성 탐색은 물론 소행성 탐사 관측에 최적화돼 있다.

KMTNet 망원경은 미국 NASA가 주도하는 소행성 탐사관측 프로젝트에 쓰이는 다른 망원경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어 연구팀은 이번에 정립된 방법론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후속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두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천문연 박사는 “한국 최초의 지구위협소행성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우리나라의 미래 소행성 탐사를 위한 기반 연구를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구본혁기자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