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9헤경氣UP포럼]“정부 급격한 脫원전 정책…원전생태계 붕괴 위기”
- 황주호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주제발표
- 인력유출 등 영향 가동 원전에 악영향 우려
- 정부, 향후 특별지원 대상이라는 신호를 줘야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인해 인력의 유출과 원전 부품공급망의 악화로 원전생태계가 붕괴위기에 몰렸습니다.”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9 헤경氣UP 포럼’ 2세션 두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황주호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붕괴위기에 몰린 원전 생태계…탈원전과 그 이후에 대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황 교수는 “현 정부의 탈원전 계획에 따라 정책이 진행될 경우에도 원자력발전 산업의 지속성을 확보하려면 산업구조를 혁신해 매우 효율적인 체제로 탈바꿈해야 한다”고도 했다.

특히 황 교수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인력유출이 가동원전 안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우수 인력 중심의 원전설계 건설 운영은 안전 운전의 핵심이다. 우수 인력은 학계의 교육과 연구개발을 통해 배출되는데 급격한 탈원전 신호는 이러한 원전 우수 인력의 모집과 배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인력 유출마저 발생하고 있다. 

황 교수에 따르면 원전공기업에서도 한해 자발적 퇴사자가 140명을 넘어섰고 대학 원자력과에서도 학업중도 포기, 전과 신청 등이 발생하고 있다.

황 교수는 이같은 우려에 대해 “안전운전을 위한 인력 수급을 위해서는 향후 수십년간 특별지원 대상이라는 신호를 정부가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그는 원전 공기업 중 한국전력기술이 가장 급격한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전력기술의 신규 원전 사업은 신고리 5, 6호기 사업으로서 2022년 이전에 대부분 업무가 마무리된다. 가동중 원전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도 수명연장을 안 하는 이상 업무가 없으며 연구개발 분야도 신규 노형 연구가 없어지면서 중단됐다.

원전 운영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운영원전 수 감소, 우수인력 확보난, 기자재 및 부품공급체계 불안정 등을 어려움으로 예상했다.

또 두산중공업도 탈원전 계획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신울진 3, 4호기 선제 제작에 대한 보상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임원 30명 감축, 사무관리직 2개월 순환휴직, 정규직 400명과 사내협력 업체직원 170명 등 인력조정을 했으며, 경남도내 280여개 협력업체가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황 교수는 “한국수력원자력과 정부는 탈원전 정책기조로 원전부품 공급망이 중장기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공급자 이탈방지 지원사업, 에너지 혁신성장 펀드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96%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서 준 자립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을 이용해 에너지 안보를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계는 정부의 탈원전을 목표로 하는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원전 운영수 축소와 각종 사업이 줄어들 전망”이라며 “이에 원자력계는 스스로 연구개발, 설계, 건설, 운영, 정비, 제작 등 모든 분야를 다시한번 돌아보고 효율화를 통한 살아남기를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atto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