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년 vs 9년… 수도권 내집마련 기간, 한 정부 두 통계
국토부 ‘수도권 중위가 3억… 내집마련에 7년’
감정원 ‘수도권 중위가 3.7억’, 25% 높아
“조사 목적ㆍ표본 달라” vs “너무 큰 오차”
“PIR은 신뢰 어려운 통계… 한정해 사용해야”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국토교통부가 수도권에서 내 집 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6.9년이라는 통계를 내놓았다. 그러나 정부 공식 부동산 통계기관인 국토부 산하 한국감정원의 통계로는 8.7년이 걸리는 걸로 계산돼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부가 16일 발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주택을 보유한 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배수(PIR)는 전국 기준 5.5배, 수도권 기준 6.9배라고 밝혔다.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5.5년과 6.9년을 모아야 해당 지역에 ‘보통 수준의 집’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보통 수준의 집’이란 중위가격의 주택을 말한다. 표본대상주택을 가격 순으로 일렬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 순위에 위치한 주택의 가격으로, 다양한 가격의 주택이 존재하는 지역의 집값을 하나의 숫자로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통계로 평가받는다. 주거실태조사에서는 전국 주택중위가격이 2억1000만원, 월소득이 320만원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주택중위가격이 3억원, 월소득은 36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감정원이 매달 발표하는 월간주택가격동향조사 상의 통계와는 차이가 있다. 지난해 12월 주택가격동향조사를 보면 전국 주택 중위가격은 2억6450만원으로 주거실태조사 결과보다 26%나 높다. 월소득 320만원 가구가 구입하려면 6.9년이 걸린다. 수도권 주택 중위가격도 3억7724만원으로 26% 높으며, 월소득 360만원 가구가 8.7년을 모아야 구입할 수 있다.

이같은 차이가 나는 원인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조사 목적이 달라 표본도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거실태조사는 주거환경과 주거이동,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전국 6만1000가구를 표본으로 조사한다. 정부 관계자는 “1년간 주택정책의 성적표인 셈”이라고 표현했다. 이 조사에서 PIR 계산의 대상이 되는 것은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다. 반면 감정원의 월간주택가격동향조사는 주택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으로, 전국 2만6700여개 주택을 조사한다.

그러나 조사 목적과 표본의 차이를 인정하더라도 26%나 되는 결과값의 차이가 나는 것을 ‘신뢰할만한 통계’라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물음표가 찍힌다. 또 두 통계가 엄연히 다른 것이라면 같은 이름으로 표현하는 것이 국민들에게 혼동을 준다는 지적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PIR은 조사주체마다 조사 방식이 너무 달라 특정 조사 결과가 과거에 비해 높아졌나 낮아졌나 하는 정도의 참고용도로만 의미가 있지 ‘몇년 걸린다’는 식의 절대적 수치나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집값 거품이 끼었는지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도 해당 통계를 인용할 때 이같은 점을 감안하라고 단서를 달아둔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PIR을 계산하는 것이 더 무의미하다는 지적도 있다. 주택시장의 빅데이터를 연구하는 조영광 대우건설 하우스노미스트는 “서울은 이미 오래 전에 근로소득으로 집을 장만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고, 자산가의 자본력이 집값을 좌우하는 시장이 돼버렸다”며 “소득 대비 집값이 얼마냐는 수치(PIR)를 바탕으로 향후 집값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