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세수술 로봇산업 급성장…“정부부처 협력체제 구축해야”
미국 수술로봇 시장 규모 [출처=융합연구정책센터]

-융합연구정책센터 “미세수술 로봇시장 두고 각국 경쟁”
-해외 “대기업 참여 지속적 연구” 국내 “중소기업 주축”

[헤럴드경제=민상식 기자] 신경 및 혈관을 다루는 미세수술 로봇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관련 시장 활성화를 위한 관계부처의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융합연구정책센터는 최근 융합연구리뷰 보고서를 통해 의료용 마이크로로봇을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업화가 전 세계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의 수술로봇 시장 규모는 올해 약 40억 달러에서 2022년 약 70억 달러까지 커질 전망이다. 전 세계 의료로봇 시장은 연간 15% 성장해 2020년 114억 달러로 예측되며, 전체 로봇시장의 60%를 의료로봇이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는 “마이크로로봇이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시술자의 손이 닿기 힘든 국소부위에서의 치료, 정밀 약물 및 세포전달 등의 이점이 있다”면서 “이를 통해 환자의 고통 및 감염의 위험 등을 감소시켜 회복기간이 짧아지는 등 많은 장점이 미세수술 로봇 사업화의 원동력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태동기의 기술 분야이며 시장을 선점한 절대강자 없이 각 국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해외에서는 대기업의 참여를 통해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중소기업이 주축이 돼 기술발전이 이뤄지고 있어 발전 속도가 더디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그동안 벤처 기업 위주였던 수술로봇 시장에 메드트로닉, 존슨앤드존슨과 같은 대형 의료기기 회사들이 진출하고 있고, 존슨앤드존슨은 정보처리 기술을 가진 구글과 합작사를 설립해 곧 수술 로봇을 출시할 계획”이라면서 “특히 국내 수술로봇은 벤처와 중소기업이 중심이기 때문에 수술로봇 상용화까지의 장시간 개발시간과 투자비용을 감수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서승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브랜드와 신뢰도가 쌓이지 않은 새로운 수술로봇 시스템은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의료시장을 공략하는 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며 “현재 상용화돼 있는 수술로봇 시스템이 목표로 삼은 임상 분야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아 단기간 매출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서 선임연구원은 “성공적인 사업화와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수술로봇의 기술개발 뿐 아니라 인증과 건강보험적용, 표준화 등 포괄적인 영역에 이르기까지 각 부처의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유관기관이 협력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제도 도입을 통해 상용화, 임상시험 등의 부담을 경감시켜 기업의 참여를 유도, 시장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면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수술로봇 시스템의 개발 기간과 인허가 기간을 단축시켜 기업 투자에 대한 위험성도 경감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m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