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술시장 신흥 핫플레이스 ‘떴다, 상하이!’
이제 5회째 열리는 신생아트페어인 웨스트번드아트페어는 상하이시의 미술집중 육성 정책에 힘입어 세계미술계의 주목을 받는 행사로 급성장했다. 올해는 화이트큐브, 가고시안, 페로탱, 페이스갤러리, 하우저앤워스, 데이비드즈위너 등 110개 갤러리가 참여, 아트바젤 홍콩을 방불케 했다. 사진은 웨스트번드아트페어 전경.
‘웨스트번드 아트 앤 디자인 페어’
전세계 43개 도시 110개 갤러리 참여
세계 주요갤러리 미술관급 부스설치
데미안 허스트 등 유명 작품도 전시

‘아트 O21’페어와 시너지로 외연 성장
34%에 달하는 ‘세금 페어’ 약점 꼽혀


[상하이(중국)=이한빛 기자] ‘3월 홍콩, 11월 상하이’

매년 3월 홍콩을 찾는 미술 애호가라면, 11월 상하이행 항공권을 알아봐야 할지도 모르겠다. 아트바젤 홍콩을 턱끝까지 쫓아가는 아트페어와 미술관에서 열리는 세계적 작가들의 블록버스터급 전시는 전 세계 미술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하다. 더구나 올해는 상하이비엔날레와 상하이국제무역박람회까지 열려 전세계 미술인, 콜렉터, 디자인 관계자들을 끌어들이며 세계 미술계의 ‘핫 플레이스’임을 증명했다.

가장 중심이 되는 건 단연 ‘웨스트번드 아트 앤 디자인 페어(West Bund Art& Design Artfairㆍ이하 웨스트번드 아트페어)’다. 상하이시가 지난 3년간 정책적으로 육성한 ‘미술 특구’인 웨스트번드에서 열린다. 지난 2014년 부터 시작, 이제 5년차에 불과한 신생 행사지만 참여 갤러리들의 면면은 아트바젤 홍콩을 방불케한다. 첫 해 30여개 갤러리로 시작한 아트페어는 올해는 전세계 43개 도시에서 110개 갤러리가 참여했다. 전시장도 지난해까지 웨스트번드아트센터 한 곳에서 열리던 것에서 부속건물인 홀N(Hall N)까지로 넓어졌다. 화이트큐브, 가고시안, 페로탱, 페이스갤러리, 하우저앤워스, 데이비드즈위너 등 세계 유수 갤러리가 부스를 내면서 그 격도 상당히 올라갔다. 한국에서는 아라리오, 국제갤러리, P21이 참여했다. 부스 참여는 주최측인 ‘상하이 웨스트번드 개발 그룹 공사’의 초청으로 이뤄진다.

폭발적 성장은 판매실적에서도 드러난다. 페어의 첫 날이자 VIP 오픈일이었던 지난 7일, 벤브라운 파인 아트 갤러리는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소품인 ‘빌트(Bildㆍ1990)’를 약 160만 달러(18억7000만원)에 중국 컬렉터에게 넘겼고, 오타 파인 아츠 갤러리는 야요이 쿠사마의 2015년 작품인 호박 조각을 200만달러(22억 5800만원) 못미치는 가격에 판매했다는 후문이다. 갤러리 타데우스 로팍이 선보인 아드리안 게니의 신작 ‘파벨라(Favela)’은 한국의 한 재단이 120만달러에 사갔다. 

아니쉬 카푸어와 양혜규 작품을 선보인 국제 갤러리.
데미안 허스트와 앤소니 곰리의 작품. 화이트 큐브 갤러리.
페어엔 데미안 허스트, 쿠사마 야요이, 나라 요시토모, 안소니 곰리, 게르하르트 리히터, 스털링 루비, 안드레아스 거스키, 백남준, 서도호 등 컬렉터들의 구미에 맞는 작품도 상당수 나왔지만 이른바 미술관ㆍ비엔날레 작가로 분류되는 프란시스 알리스, 엘 아나추이의 주요작품도 나왔다. 철저히 콜렉터들을 대상으로 하는 아트바젤 홍콩과는 전시 방법에서 차이도 보였다. 형광등 작가인 댄 플래빈을 소개한 데이비드 즈위너는 대형 작품 두 점만을 전시했고, 가고시안 갤러리는 일본 팝아트 거장 무라카미 다카시를 판매와 무관한 특별세션에서만 소개하기도 했다. 지난 3월 홍콩에서 큰 인기를 끌며 완판된 영국 추상작가 세실리 브라운의 작품은 1점 출품에 그쳤고, 7~8개 갤러리에서 앞다퉈 소개했던 양혜규 작품도 2개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수준이었다. 또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보여줄 수 있는 대작을 선보이는 등 ‘전시’ 자체에 초점을 맞춘 부스가 많았다. 왕한이 가고시안 수석 디렉터는 한 외신과 인터뷰에서 “특히 상하이 컬렉터들은 굉장히 까다롭고, 안목이 높다. 이탈리아 개념 미술 작가인 루돌프 스팅겔이나 스위스 작가인 우루스 피셔를 찾는다. 처음 참가했을 때와는 분위기가 완전히 다르다”고 밝혔다.

더불어 옛 비행기 격납고를 리모델링해 활용하는 전시장도 아트페어의 위용을 더한다. 산업 해리티지를 간직한 건물에 예술을 더해 새롭게 재생시킨 것. 높은 층고와 벽 상단에 위치한 채광창이 미술관 전시장 부럽지 않게 빛을 발했다.

그러나 최고 34%에 달하는 세금은 페어의 약점으로 꼽힌다. 출품작 가격대도 높은 편이라 참여 갤러리들에겐 부담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최측의 초청을 거부하지 못하는 건 ‘미술 도시’ 상하이의 무서운 성장 속도 때문이다. 화이트 큐브, 시몬스테일러, 데이비드즈위너, 페로탕 등이 속속 분점이나 사무소를 오픈하는 가운데 유즈 뮤지엄, 롱 뮤지엄 등 세계적 수준의 미술관이 웨스트번드에 문을 열었다. 프랑스 대표 미술관인 퐁피두도 내년이면 상하이에 분점을 오픈한다. 데이비드 치퍼필드 사무소가 설계한 이 건축물은 90%이상 완공된 상태다. 손엠마 리만머핀코리아 디렉터는 “개인 콜렉터에게 작품을 파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근 미술관에서 작가를 대대적으로 조명할 수 있길 기대하며 페어에 참여한다”며 “상하이를 미술 특구로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만큼 긴 안목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상하이전시센터에서는 ‘아트 O21’이 지난 8일부터 열렸다. 동시대미술을 주로 소개하는 아트페어로, 올해부터는 근현대미술을 함께 소개하는 웨스트번드아트페어와 일정이 겹친다. 두 페어가 시너지를 내면서 외연이 넓어졌다는게 미술계 관계자들의 평가다. 무섭게 성장하는 아시아미술시장에서 중국이 주도적 역할을 가져가는 가운데, 한국미술시장은 점점 그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두 페어 모두 11일에 폐막했다. 

vi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