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댓글읽고 생각 바뀌었다” 26%…바른ICT硏, 뉴스 이용자 조사
인터넷 뉴스와 댓글을 읽은 사람 4명 중 1명 꼴로 뉴스를 보기 전과 후의 생각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전에 해당 뉴스가 다루는 주제에 대해 별다른 의견이 없는 사람의 경우 64%까지 댓글에 따라 생각이 변했다. 다만, 공감수가 많은 베스트댓글(베댓)보다는 전체 댓글 중 다수 의견이 무엇인지가 더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뉴스를 읽은 후 시간이 지날수록 댓글의 영향력보다는 사전에 이용자가 가진 찬반 의견이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바른ICT연구소는 7일 연세대학교 새천년관 대강당에서 열린 리서치 컨퍼런스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댓글 조작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 결과, 뉴스와 댓글을 접한 이용자의 26%가 생각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 혹은 반대의견으로 변화한 비율은 각각 10.3%, 12.3%로 비슷했고, 무의견으로 변화한 경우도 3.4% 있었다. 이들은 댓글의 다수 의견에 따라 의견을 바꾼 것으로 집계됐다. 베스트댓글의 찬성/반대 여부에 따라 의견을 바꾼 비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또, 뉴스 주제에 대해 사전에 별도의 이견이 없는 이용자의 경우 3명 중 2명 꼴(64%)로 의견을 바꿨다. 이때도 다수 댓글의 영향이 베스트댓글보다 컸다.

김보라 바른ICT연구소 연구교수는 “댓글에 따른 의견변화 방향성에는 ‘다수댓글효과’가 일등 댓글의 효과보다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며 “특히, 온라인 뉴스에 노출된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람일수록 댓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짐작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동일한 뉴스라도 댓글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뉴스 주제에 대한 여론 지각에 차이가 있었다. 댓글의 내용을 떠나 댓글이 존재한다는 사실 만으로 이용자는 해당 뉴스가 다루는 주제를 ‘논쟁과 논란의 대상’으로 인식한다는 의미다.

다만, 특정 주제에 대한 찬반 여론을 추정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용자의 사전 태도였다.

뉴스와 댓글을 읽은 직후에는 찬반 여론 추정이 약 20%까지 차이 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가 감소했다. 반면, 뉴스에 대한 개인별 태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극단적으로 벌어지는 패턴이 관찰됐다.

박용완 바른ICT연구소 연구교수는 “댓글 조작을 통해 해당 이슈에 대한 전반적인 여론을 순간적으로 높게 혹은 낮게 인식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댓글 조작의 효과는 사라짐을 시사한다”며 “실질적인 댓글 조작의 효과는 이용자들의 찬반 의견 강화 뿐으로, 지지자들의 응집 효과만이 기대된다”고 해석했다.

한편 댓글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20~40대 이용자였으나, 댓글을 적극적으로 작성하는 이용자 비율은 오히려 50대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정윤희 기자/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