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南선 작약, 北선 함박꽃…북한 식물명 절반 우리와 달라
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식물 중 하나인 장지석남. [사진=환경부]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의 절반 가량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작약’으로 부르는 것을 북한에선 ‘함박꽃’으로 부르는 식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14일 올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의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를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한 결과 약 50%인 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과 다르다고 밝혔다.

‘조선식물지’는 북한의 임록재 박사 등 식물학자 18명에 의해 2000년에 발간됐으며, 북한 지역의 식물학적 연구가 총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이다.

식물명이 다른 경우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외래어 순화, 비속어 배척 등 남북한의 정책적인 원인에 의한 차이가 18% 정도였고, 합성명사(-나무, -풀 등)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약 10%, 두음법칙의 미사용 등의 표준어 표기법 차이가 7% 정도였다.

또 자도나무를 추리나무로, 소리쟁이를 송구지로 부르는 등 기준명이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었다.

이 밖에 ‘조선식물지’에 수록된 식물 총 200과 996속 3523종 중 전 세계에서 북한지역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은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 남한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식물은 314종으로 조사됐다.

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15일 발간한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총체적인 규명을 위해서는 남북한 생물표본의 상호 교환, 연구자들의 공동 조사 등 남북협력이 필수”라며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이 남북한 교류의 징검다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