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북미회담 파탄 시발점 최선희 책임 물을까?
-김정은 결정ㆍ지시 따라 움직여 책임 묻기 힘들 듯

-김정은, ‘외교 비밀병기’로 키운다는 관측도 나와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세기의 회담으로 기록될 뻔했던 6ㆍ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파탄의 직접적 배경에는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자리하고 있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24일(현지시간) 비공개 브리핑에서 “어젯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지목해 공격하는 내용의 성명이 도착했다”면서 “미국을 위협하고 미국과 회담장에서 만나든지, 핵 대 핵 대결을 하자는 내용이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하기까지 최선희의 펜스 부통령을 겨냥한 원색적 비난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또 다른 백악관 관계자는 로이터통신에 “펜스 부통령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 인내의 한계였다”면서 “정상회담을 취소하게끔 했다”며 최선희의 담화가 문제가 됐다고 직접 언급했다.

최선희는 북한의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불린다.

오스트리아와 몰타, 중국 등에서 유학하고 1980년대부터 외무성에서 근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핵 6자회담 협상무대에서 통역을 맡아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거침없는 태도와 북한 당국의 유별난 대우로 ‘상사보다 높은 통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후 미국과 캐나다를 담당하는 북한 외무성의 북아메리카국 부국장과 국장을 역임하는 등 대미라인의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특히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북핵문제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외교실세로 부상했다.

지난 2월 북아메리카국 국장에서 부상으로 승진했으며, 북한 외무성은 3월 홈페이지를 통해 이를 공식 확인했다.

최영림 전 내각총리의 수양딸로도 알려져 있다.

북한 외무성은 외무상과 제1부상, 그리고 7명의 부상을 두고 세계 각 지역과 국제기구를 맡기고 있다.

최선희는 주로 대미외교를 담당해온 만큼 업무 연장선상에서 미국과 캐나다 관련 업무를 맡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탁월한 영어 실력과 남다른 외교 감각을 지닌 덕분에 미국의 카운터파트들로부터도 나름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다.

일각에선 김 위원장이 최선희를 외교 분야 ‘비밀병기’로 키우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최선희는 작년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당시 미국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센 윤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비공개 접촉을 갖고, 같은 해 9월에는 러시아를 방문해 6자회담 차석대표인 올레그 부르미스트로프 한반도 특임대사와 회담을 갖는 등 북핵 외교 최일선에서 활동해왔다.

올해 들어서는 김 위원장의 방중을 수행하고, 러시아 에너지ㆍ안전센터대표단을 접견하는 등 대미외교 외 영역에서도 활동폭을 넓히고 있다.

이와 함께 북한이 향후 최선희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지도 눈길을 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6ㆍ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하자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을 내세워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다”고 밝히는 등 ‘급수습’에 나섰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북한이 최선희에 대한 책임을 묻고 미국에 메시지를 보내는 차원에서 인사조치 등 어떤 식으로든 행동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러나 북한 시스템상 최선희에게 책임을 묻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대북소식통은 “김계관도 그렇지만 최선희 역시 김 위원장의 결정이나 지시 없이 개인의 입장을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김 위원장의 결정과 지시를 이행한 최선희에 대해 경질 등 인사조치를 한다면 김 위원장의 오류를 시인하는 것으로 비쳐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이 최선희 담화를 문제 삼자 그 윗선인 김계관을 내세워 판을 깨지 않겠다고 밝힌 것 자체가 나름 성의를 표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미대화 기류가 아직 살아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최선희를 대체할 인물도 없는 형편이다.

북미대화 단절이 장기화되면서 북한의 대미외교라인 공백은 심각한 수준인데, 김계관은 최근까지 대외활동에 나서지 않았고, 한성렬 외무성 부상은 지난 2월 이후 외교일선에서 종적을 감췄다.

현재로선 북한이 가진 대미라인이라고는 그나마 최선희와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국장 직무대행 정도가 꼽힐 뿐이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