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과학] 북한 광물자원 잠재가치 2715조…남북협력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가능
- 북한 광물자원과 남한 기술력 및 자본 결합
- DMR 연구단, 항공우주분야 등 융합소재화 기술 확보 주력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4.27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에 힘입어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국내 과학기술계에서는 남북과학기술협력의 핵심 축으로 풍부한 매장량을 자랑하는 북한의 광물자원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북한 광물자원 공동개발은 남북한이 협력해 상생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쉬운 분야 중 하나로, 북한의 풍부한 광물자원과 우리나라의 광물탐사 및 제련기술이 결합되면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DMR 융합연구단 소속 연구원들이 희토류 광상 테스트베드에서 전기비저항탐사 수행하고 있다.[제공=DMR 융합연구단]

실제 우리나라는 세계 5위권의 광물소비국으로 철, 아연, 마그네사이트, 흑연, 희토류 등 주요 산업의 재료로 사용하는 광물은 거의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산업의 토대가 되는 리튬, 코발트, 망간, 니켈, 텅스텐 등 광물자원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들 핵심 광물자원의 안정적 확보가 산업경쟁력의 핵심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북한의 주요광물자원 매장량은 무연탄 45억톤, 갈탄 160억톤, 금 2000톤, 동 290만톤, 아연 2110만톤, 철 50억톤, 망간 30만톤, 니켈 3만6000톤, 석회석 1000톤, 마그네사이트 76억톤 등 약 2715조의 잠재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금속 및 비금속 광물자원 분포도[제공=DMR 융합연구단]

북한은 전력공급 불안정, 광산설비 노후화 및 재래식 개발법, 안전시설 미비 등의 이유로 부존량에 비해 생산량은 20~30%대에 머물러 있다. 특히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제련 및 소재화기술이 부족해 채굴된 광물을 재가공 없이 원광 상태로 중국 등지에 수출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광물자원 개발을 위해 이미 지난 2015년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재료연구소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대학 및 기업이 참여하는 ‘한반도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DMR)’이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상모 DMR 융합연구단장은 “광물자원개발에 요구되는 지질조사, 탐사, 광상평가, 채광 및 선광, 제련 및 소재화기술에서 북한의 기술수준은 다소 낮은 편”이라며 “풍부한 북한의 광물자원과 우리나라의 기술력과 자본이 결합된다면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광물수요를 발판삼아 새로운 경제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단에 따르면 북한에는 광산들이 밀집 분포해있는 광화대가 8개 존재한다. 정주-운산 금ㆍ희토류 광화대, 무산 철 광화대, 혜산-검덕-대흥 동ㆍ아연ㆍ마그네사이트 광화대, 만년 중석 광화대, 가무리-재령 철 광화대, 평남북부탄전, 함북북부탄전, 안주탄전 등이다.

현재 북한 부존 광물종 가운데 동, 몰리브덴, 중석, 인광석 등이 개발 잠재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북한 정주-운산, 무산, 혜산-검덕-대흥 지역에 매장돼 있는 흑연과 마그네슘의 원료인 마그네사이트와 희토류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 단장은 “흑연은 그래핀 개발, 마그네사이트의 경우 알루미늄보다 가벼워 항공우주용 구조물이나 엔진소재로 활용되는데 주로 합금으로 만들어 사용한다”면서 “다만 북한의 경우 이러한 합금제조기술이 낙후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연구단이 개발해 운용중인 한국형 항공전자탐사시스템[제공=DMR 융합연구단]

현재 연구단은 북한과 동일한 지질환경에서 형성된 중국 동북지역에서 연-아연, 마그네사이트 광상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광물자원기술 탐사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곳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물자원 탐사기술을 확보한 뒤 광물자원 제련공정 기술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융합형 소재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연구단은 오는 2021년까지 북한의 풍부한 광물로부터 추출된 마그네슘, 희토류 등의 금속소재를 제조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핵심제련기술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한 상태다.

이를 위해 북한 광물에 맞춘 선광-제련기술과 소재화기술을 확보, 북한 광물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시키겠다는 것이 연구단의 설명이다.

고 단장은 “한반도 광물자원 개발은 단순한 자원 채굴을 넘어 새로운 미래산업을 창출하는 동력이자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향후 북한광물자원 개발을 통해 러시아, 중국, 몽골을 잇는 동북아 자원벨트 구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